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도 교육청 초등학교 평가지표 비교 분석

이용수 233

영문명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valuation Indicator of Elementary School in 17-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성수(Jung Sung-soo) 김경원(Kim Kyeong-w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3호, 1013~103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17개 시·도 교육청의 2017년 초등학교 평가지표를 비교·분석해 보고 시·도 교육청별 중점 사안과 그 정책적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7년도 단위학교 평자지표를 분석한 결과 17개 시·도별로 초등학교 평가의 중점사항이 다른 것으 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평자지표영역, 세부영역, 평가지표에서 한국 교육개발원의 가이드지표 및 영역명을 준용하는 지역과 자체적인 평가영역과 지표를 설정하여 평가하는 곳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교육청의 경우 안전, 창의, 공감, 복지, 혁신, 교직문화, 민주적 학교운영, 참여, 소통, 배려, 개방 등의 평가 영역명 또는 평가지표를 설정하여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시·도 교육청에서는 교육활동영역과 학교운영 영역을 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평가지표만을 활용하였으므로, 향후 확대된 연구의 필요성은 물론 상이한 평가지표가 단위학교에 미칠 영향력을 분석하여 평가지표가 개선될 수 있기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out implications throughout comparative analyzing the evaluation indicator of elementary school in the 17-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is study was done by analyzing the evaluation indicator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evaluation index guide of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EDI).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Seoul, Busan, Daegu, Daejeon, Ulsan, Gangwon, Chungnam, Jeonbuk, Jeonnam and Gyeongbuk offices of education establish and develop their evaluation index in accordance with the evaluation index guide of KEDI while Incheon, Gwangju, Sejong, Gyeonggi and Chungbuk offices of education establish their index focusing on safety, welfare, innovation, culture of school, democratic school management, school community, participatio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addition, most of the offices of education mainly evaluate the sections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school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research is needed in order to draw meaning implications since this study uses only the evaluation indicator of elementary school. Also, it is suggested that additional research on examining an impact that how different evaluation indicator and system affect school management and teaching-Learning effectiveness will be needed in order to improve the evaluation indicator and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시 · 도 학교평가 평가지표 분석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성수(Jung Sung-soo),김경원(Kim Kyeong-won). (2018).시·도 교육청 초등학교 평가지표 비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23), 1013-1032

MLA

정성수(Jung Sung-soo),김경원(Kim Kyeong-won). "시·도 교육청 초등학교 평가지표 비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3(2018): 1013-10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