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들의 성취정서와 사회정서역량 간 관계

이용수 1098

영문명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Emotion and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상수(Lee, Sang So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3호, 929~95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은 어떤 성취정서를 경험하는지, 사회정서역량 수준에 따라 성취정서가 어떤 차이가 나는지, 그리고 성취정서에 사회정서역량의 어떤 하위변인들이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여 대학생들의 건강한 대학생활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 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학생들 대학계열을 고려하여 총 34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대학 공부 상황에서 대학생들이 경험한 성취정서 중 자부심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좌절감이 가장 낮게 나 타났다. 그리고 대체로 긍정적 성취정서가 높게 나타나고 부정적 성취정서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정서역량의 수준에 따라 성취정서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긍정 성취정서의 경우 사회정서역량이 높을수록 긍정 성취정서도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성취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사회정서역량들을 분석한 결과 성취정서의 유형에 따라 조금씩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먼저 긍정 성취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정서역량으로는 자기인식이 가장 중요한 요 인으로 그리고 책임 있는 의사결정이 그 다음 중요한 역량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정 성취정서의 경우 자기관리가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고 그 다음으로 자기인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emotions and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and to provide basic research data on the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healthy lif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s, First, the study analyzed what kind of achievement emotion they experienced, and second, the differences of achievement emotions according to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level was analyzed. Finally, we analyze what sub-variables of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affect achievement emo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2 students of P university considering male, female, grade, and colleg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college students showed high scores in positive achievement emotions rather than negative achievement emotions. Second, the higher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es, the higher the positive achievement emotions and the lower the negative achievement emotions. Third, sub-variables of social emotional competences affecting achievement emotions were slightly different. Self-awareness has been shown to affect both positive and negative achievement emotions. In the case of positive achievement emotions, the ability of responsible decision-making was influential and in the case of negative achievement emotions, self-management ability to control their emotions were found to have an important influence.

목차

Ⅰ. 서론
Ⅱ. 성취정서와 사회정서역량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수(Lee, Sang Soo). (2018).대학생들의 성취정서와 사회정서역량 간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23), 929-952

MLA

이상수(Lee, Sang Soo). "대학생들의 성취정서와 사회정서역량 간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3(2018): 929-9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