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반계 고등학교의 개방적 탐구에서 나타나는 탐구문제 구성방식과 학생이 겪는 어려움 분석

이용수 117

영문명
An analysis on patterns and difficulties of constructing inquiry questions in high school students’ open-inquiry activit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문지영(Mun Jiyeong) 이현옥(Lee Hyuno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1호, 311~33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1.15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반적인 고등학교 현장에서 개방적 탐구를 수행함에 있어 실질적인 탐구 안내 및 전략을 모색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에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교사의 전형적인 안내에 따라 개방적 탐구를 수행한 학생들이 어떻게 탐구 문제를 구성 하는지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특히, 교사들이 학생들의 탐구 문제 선정을 돕기 위해 사전에 탐구 주제 및 소재를 제안하는 것에 주목하여 학생들의 탐구 방식을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인천 소재 한 고등학교의 교내 과학 탐구 반에 참여한 43명의 학생이었다. 연구자는 학생들의 개방적 탐구 과정을 전반적으로 관찰하며 관찰노트를 작성하였고 학생의 탐구 활동이 끝난 후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제출한 최종 보고서, 개별 에세이, 발표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2인의 연구자는 수집된 자료를 질적 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학생들의 탐구 문제를 구성하는 유형이 세 가지로 도출되었다. 첫째, 학생들은 교사가 제안한 탐구 소재 및 관련 과학지식을 추가적으로 확인하는 탐구 문제를 구성하였다. 둘째, 교사가 실행한 실험방법을 중심으로 새로운 조건 및 소재를 도입 하여 탐구 문제를 구성하였다. 셋째, 교사가 제시한 탐구 소재와 연관된 실생활 맥락을 고려하여 탐구 범위를 확장하여 탐구 문제를 구성하였다. 또한, 탐구 문제를 구성 하는 과정에서 학생이 겪은 어려움으로는, 탐구 소재의 참신함을 강조하여 다양한 소재를 탐색하다 오랜 시간 탐구 문제를 구성하지 못하거나, 실험이 가능한 정도로 탐구 문제를 구체화하지 못하는 것과 같은 어려움이 주요하게 드러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실행되는 개방적 탐구를 효과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방안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pen inquiry has been applied in various forms at the school sites. The related studies has reported that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finding inquiry topics and constructing ques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students find inquiry topics in open inquiry activities in general high schools, and explored the difficulties students experience in the process. Participants were 43 students who joined an after school science class for five months at a general high school in Korea. In the science class, science teachers provided four science themes and experiments as the inquiry, and students constructed a new question, planned and conducted experiments. We collected group final reports, self-reflective essays and focus-group interview data. Using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the authors analyzed the process of finding questions and the difficulties student experienc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students suggested 1) a limited inquiry questions to identify the given context in the inquiry situation, 2) an inquiry questions changing the conditions of the given context, and 3) an inquiry questions reconstructing inquiry topics related with real-life contexts. We also fou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ttern and the reasons why students constructed the questions. Students’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proposing inquiry questions were as follows: 1) they took a long time to select topics because they tried to find a brand new question, and 2) they failed to elaborate quest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authors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the teachers’ general guidance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지영(Mun Jiyeong),이현옥(Lee Hyunok). (2018).일반계 고등학교의 개방적 탐구에서 나타나는 탐구문제 구성방식과 학생이 겪는 어려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21), 311-332

MLA

문지영(Mun Jiyeong),이현옥(Lee Hyunok). "일반계 고등학교의 개방적 탐구에서 나타나는 탐구문제 구성방식과 학생이 겪는 어려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1(2018): 311-3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