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 자퇴의향 분석

이용수 90

영문명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Dropout Intention: Effects of Tinto’s Student Integration, Student Characteristics,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희란(Heeran Kim) 모화숙(Hwasook M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3호, 773~79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자퇴의향에 대한 Tinto의 학생통합 요인과 함께 학교 특성, 학생 특성, 학생의 사회·경제적 여건 관련 변인들의 예측력를 확인하고, 1학년과 2학년에 따라 유의한 예측변수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한국교육개발원의 「2021 대학 교수·학습 과정에 관한 설문조사(NASEL)」의 일반대학 1학년과 2학년 28,353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자퇴의향을 종속변인으로, 학교 특성 및 학생 특성, 학생통합 요인 등을 예측변인으로 하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1학년은 비수도권 대규모, 비수도권 중소규모인 경우, 예체능계열, 아버지 학력이 석사 이상일 때, 자퇴의향을 가질 가능성이 높은 반면 의약계열, 능동적 학습 경험, 기초학습능력에 대한 자기평가, 동아리·학생회 활동 및 학내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자퇴의향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학년은 수도권 대규모가 아닌 경우, 성별이 남성인 경우에 자퇴의향을 가질 가능성이 높은 반면 사회계열, 공학계열, 의약계열, 예체능계열인 경우, 월 평균 가구소득이 150-300만원인 경우, 협력 학습경험과 기초학습에 대한 자기평가가 높은 경우에 자퇴의향이 낮게 나타났다. 결론 자퇴의향에 대한 예측변인의 유의성이 대학교 1학년과 2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자퇴 예방과 교육의 기회균등을 위한 개인과 대학, 교육당국의 재정적·행정적 정책지원의 필요성과 이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ifferences between first and second year of college students' dropout intention related to university characteristics, student characteristics, and students'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along with Tinto's student integration factor. Methods The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data colle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EDI) in 2021 were used. The number of participants were 28,353 students of four-year universities.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First-year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non-metropolitan area had a higher intention to dropout, but second-year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small size in the metropolitan area also did. Dropout intention was lower when first-year students were in the medication field, and for second-year students when they were in the social sciences, engineering, medicine, or arts and physical sciences fields, compared to those in the humanities. For both year students, when active or collaborative learning and self-evaluation of basic learning abilities was high, the dropout intention was low. Additionally, the first-year students,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high inter-action with peers lowered the dropout intention. Conclusions Dropout inten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first and second year of university, and based on the re-sults, the need for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policy support from individuals, universities, and educational au-thorities to prevent dropout and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란(Heeran Kim),모화숙(Hwasook Mo). (2024).대학생 자퇴의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3), 773-792

MLA

김희란(Heeran Kim),모화숙(Hwasook Mo). "대학생 자퇴의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3(2024): 773-7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