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장-가정 간 전이와 일상생활 스트레스 및 주관적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26

영문명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Transition, Daily Life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in Middle-aged Married Working Wome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나혜숙(Hea Sook Na)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3호, 149~16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15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년 기혼 직장 여성을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하는 직장-가정 전이와 스트레스, 주관적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여성 가족 패널 8차 자료를 이용하여 40세 이상 60세 이하인 기혼의 중년 직장여성 3,756명을 대상으로 직장-가정 갈등, 가정-직장 촉진, 가정-직장 갈등, 가정-직장 촉진을 외생변인으로, 일상 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을 내생변인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다양한 통계기법(예: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집중 타당성, 그리고 판별 타당성 등)을 활용하여 PLS-SEM 기법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검증을 실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 직장여성이 인식하는 직장→가정 촉진이 높을수록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감소하였고, 직장→가정 갈등, 가정→직장 촉진, 가정→직장 갈등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증가하였다. 둘째, 중년 기혼 직장여성이 인식하는 직장→가정 촉진이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증가하였으나, 직장→가정 갈등, 가정→직장 촉진은 그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감소하였다. 셋째, 중년 기혼 직장여성이 인식하는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감소하였다. 넷째,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모든 직장-가정 간 전이의 하위요인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분석 결과를 통해 중년 기혼직장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의 개선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은 직장→가정 촉진인 것을 알 수 있으며, 그들의 주관적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가정→직장의 긍정적 전이 전략이 필요하며, 특히 직장→가정 촉진을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함을 시사받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transition, daily life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perceived by middle-aged married working women. Methods For this purpose, using the 8th data from the Women and Family Panel provided by the Korea Women's Policy Institute, 3,756 married middle-aged working women aged between 40 and 60 were surveyed on work-family conflict, family-work promotion, family-work conflict, and family. -Workplace facilitation was se-lected as an exogenous variable, and daily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were selected as endogenous variable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structural equation testing using PLS-SEM using various statistical techniques (e.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etc.).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middle-aged married working women's perception of work→family promotion increased, daily life stress decreased, and the higher the level of recognition for work→family conflict, family→workplace promotion, and family→workplace conflict, the higher daily life stress.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work→family facilitation perceived by middle-aged married working women, the higher the subjective happiness. Third, the higher the daily life stress perceived by middle-aged married working women, the lower the subjective happines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daily life stress significant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sub-factors of work-family transi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Conclusio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e most important factor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daily life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of middle-aged married working women is work → family promotion. To improve their subjective happiness, it could be achieved through work-to-family transition strategy which con-tributes to the reduction of daily life stress; of which the most important goal strategy in promoting work→family needs to be establish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나혜숙(Hea Sook Na). (2024).직장-가정 간 전이와 일상생활 스트레스 및 주관적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3), 149-167

MLA

나혜숙(Hea Sook Na). "직장-가정 간 전이와 일상생활 스트레스 및 주관적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3(2024): 149-1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