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19로 인한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와 외로움 경험이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33

영문명
The Effects of Stress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Loneliness on Depression Change Due to COVID-19 in Adolescents: Mediating Effect of Fatigue Recovery through Sleep and Experience of Anxiety Disorder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지현(Ji Hyun Lee) 위옥연(Ok Youn W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3호, 1~1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15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와 외로움 경험이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제17차(2021년)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이차분석연구이다. SPSS/WIN 20을 통해 복합표본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SPSS AMOS 20을 이용하여 잠으로 피로회복과 불안장애 경험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스트레스 인지는 잠으로 피로회복(β=-.27, P=.003)과 불안장애 경험(β=.38, P=.006), 우울감 변화(β=.09, P=.023)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외로움 경험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잠으로 피로회복(β=-.13, P=.028), 불안장애 경험(β=.36, P=.018), 우울감 변화(β=.24, P=.008)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잠으로 피로회복은 우울감 변화(β=-.05, P=.009)에, 불안장애 경험은 우울감 변화(β=.21, P=.011)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트레스 인지와 우울감 변화와의 관계에서 잠으로 피로회복과 불안장애 경험이 간접적인 영향(β=.10, P=.002)을 미치며, 외로움 경험과 우울감 변화의 관계에서도 간접적인 영향(β=.08, P=.001)을 미쳐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다. 결론 코로나19 팬더믹이 청소년의 우울감과 정신건강에 미친 영향을 고려할 때,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사회적 교류를 증진하는 전략을 포함한 불안 완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ress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loneliness on depression change due to COVID-19 in adolescents and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ir mental health. Methods This study is a secondary analysis based on data from the '17th (2021) Korean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Complex sampl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WIN 20. Additionally, the mediating effects of sleep for fatigue recovery and the experience of anxiety dis-orders were analyzed using SPSS AMOS 20. Results In this study, the mediating effects of fatigue recovery through sleep and the experience of anxiety dis-orders were analyzed in the context of stress perception and changes in depression levels. It was found that stress percep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fatigue recovery through sleep (β=-.27, p=.003), experiences of anxiety dis-orders (β=.38, p=.006), and changes in depression (β=.09, p=.023). Similarly, when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of loneliness, significant influences were observed on fatigue recovery through sleep (β=-.13, p=.028), experiences of anxiety disorders (β=.36, p=.018), and changes in depression (β=.24, p=.008). Furthermore, fatigue recovery through sleep significantly impacted changes in depression (β=-.05, p=.009), as did experiences of anxiety disorders (β=.21, p=.011). Additionally, both fatigue recovery through sleep and experi-ences of anxiety disorders exerted indirect effect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perception and changes in depression (β=.10, p=.002), as well as between experiences of loneliness and changes in depression (β=.08, p=.001), suggesting partial mediation. Conclusions Considering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adolescents' depression and mental health,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grams aimed at enhancing sleep quality and alleviating anxiety are essential. These programs should incorporate strategies for reducing stress and promoting social interactions among adolesc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현(Ji Hyun Lee),위옥연(Ok Youn Wi). (2024).코로나19로 인한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와 외로움 경험이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3), 1-16

MLA

이지현(Ji Hyun Lee),위옥연(Ok Youn Wi). "코로나19로 인한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와 외로움 경험이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3(2024): 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