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졸 청년층의 정부고용정책 참여 여부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분석

이용수 27

영문명
Analysis of Labor Market Outcomes According to Labor Market Policy Programs of University Graduat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채린(chae rin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3호, 719~73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대졸 청년층의 정부고용정책 참여 여부에 따른 노동시장의 성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정부고용정책으로는 국민내일배움카드제,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을 선정하였으며, 노동시장 성과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고용여부, 고용형태, 종사상규모, 임금 및 직무만족으로 구성하였다. 방법 연구의 모집단은 만 26세 이상 ~ 34세 미만의 대졸 청년층이지만 모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 수행은 현실적인 한계가 있으므로, 이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되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데이터 중 2019GOMS를 활용하였다. 결측치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투입한 대상자는 국민내일배움카드제 948명, 고용노동부 청년구직활동지원 964명이다. 자료분석은 Stata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성향점수매칭을 비롯해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일반최소자승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개인특성요인(성별, 연령), 취업활동요인(어학연수, 자격증), 학교특성요인(대학유형, 대학소재지, 전공)은 더미화하여 통제변인으로 투입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두 가지 정책(국민내일배움카드제, 청년구직활동지원금) 모두 참여 여부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그렇기에 이 논문에서 정부고용정책이 노동시장 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결과를 검토하고, 그 원인을 잘 파악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향후 고용정책 운용 및 후속 연구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labor market according to whether col-lege graduates participate in government employment policies. In this study, the government's employment poli-cy is Korea’s Training Credit Programs and the Youth Job-Seeking Activity Subsidy.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consisted of employment status, employment type, job size, wages,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Methods The population of the study is college graduates between the ages of 26 and 34. However, since there is a limit to conducting research on the entire population, this study utilized 2019GOMS among the data of the Colleg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provid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Excluding missing values, the final targets were 948 people with the Korea’s Training Credit Programs and 964 people with Youth Job-Seeking Activity Subsidy. For data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least squares regression analysis, includ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were conducted using the Stata 17.0 program. At this time, individual characteristic factors(gender, age), employment activity factors(linguistic training, certificate), and school characteristic factors(university type, university location, major) were dummized and put into control variabl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neither policy(Korea’s Training Credit Programs, Youth Job-Seeking Activity Subsidy) had a positive effect on labor market performance according to participation. Conclusions Therefor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review the results of the government's employment policy that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labor market performance, and to identify and present the causes. This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future employment policy operation and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채린(chae rin Kim). (2024).대졸 청년층의 정부고용정책 참여 여부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3), 719-738

MLA

김채린(chae rin Kim). "대졸 청년층의 정부고용정책 참여 여부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3(2024): 719-7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