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전공선택검사의 성차에 의한 차별기능문항 탐색

이용수 20

영문명
A Study on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by Gender of the College Major Interest Inventory: Focusing on the engineering majo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권승아(Seung A Kwon) 이보람(Boram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3호, 703~71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공학계열 전공 선택에 성별 격차가 존재하는 현상에 주목하여 대학전공선택검사(KCMII-2) 공학계열 문항을 분석함으로써 성별에 따른 차별기능문항이 존재하는지 여부와 그 원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전공선택검사 공학계열의 활동선호도 문항 응답자 9,069명, 직업선호도 문항 응답자 9,040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고, 자료의 정규분포 및 일차원성 가정 충족 여부를 확인하였다. 차별기능문항 추출은 R의 ‘lor-dif’ 패키지와 PARSCALE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졌고, 두 개 프로그램에서 공통적으로 차별기능이 발견된 문항을 최종 차별기능문항으로 판단하였다. 결과 일차원성 가정 검정 결과 활동선호도와 직업선호도 외 다른 특성이 개입되었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따라서 후속 분석으로 차별기능문항분석을 시행한 결과, 활동선호도 문항 30개 중 9개, 직업선호도 문항 30개 중 7개가 차별기능문항으로 추출되었고, 이 중에서 활동선호도의 1개 문항을 제외한 모든 차별기능문항은 여학생에게 유리한 문항으로 분류되었다. 활동선호도 중 차별기능문항은 생명과학·생명공학, 컴퓨터·소프트웨어, 환경·에너지, 화학·화학공학 전공 문항이었다. 직업선호도 중 차별기능문항은 생명과학·생명공학, 화학·화학공학, 환경·에너지 전공 문항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추출된 차별기능문항의 발생 원인을 추론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등학생의 공학계열 진로선택에 있어서 성차를 극복하고 합리적이고 지속가능한 진로 및 직업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진로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Paying attention to the phenomenon of a gender gap in the choice of a major in the engineering de-partment,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whether there was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by gender and what caused it by analyzing the items related to engineering in the Korean College Major Interest Inventory, 2nd Edition(KCMII-2).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he data of 9,069 respondents who answered the activity preference items and the data of 9,040 respondents who answered the vocational preference items in the engineering sec-tion of the inventory in its analysis before checking if the data met the normal distribution and unidimensionality assumption requirements.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was extracted with the ‘lordif’ package of R and the PARSCALE program. The items whose differential function was found both in the programs were chosen as the final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Results The results of testing the assumption of unidimensionality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other dimensions of latent trait beyond activity and career preferences. Subsequent analysis conducted through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analysis revealed that nine out of the 30 activity preference items and seven out of the 30 vocational preference items were extracted as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All these items except for one activity preference item were favorable to female students. The activity preference items whose differential function included majors in life science and biotechnology, computer software, environmental studies and energy, and chemistry and chemical engineering. In terms of career preference, the differential functioning items encompassed majors in life science and biotechnology, chemistry and chemical engineering, and environmental studies and energy. Conclusions The study then inferred the causes of the differential item function extracted based on the findings and discussed the future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to help high school students overcome the gender gap in the choice of an engineering career and make a reasonable and sustainable career and occupation choi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승아(Seung A Kwon),이보람(Boram Lee). (2024).대학전공선택검사의 성차에 의한 차별기능문항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3), 703-717

MLA

권승아(Seung A Kwon),이보람(Boram Lee). "대학전공선택검사의 성차에 의한 차별기능문항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3(2024): 703-7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