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판 심리적 유연성 척도의 타당화

이용수 57

영문명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rsonalized Psychological Flexibility Index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손명희(Myeong-Hee Son) 이희경(Hee-Kyung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3호, 477~49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15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Kashdan 등(2020)이 정서조절의 도구적 접근을 적용하여 제작한 Personalized Psychological Flexibility Index(PPFI)를 한국판으로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대학(원)생 528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수렴 및 변별타당도 확인을 위해 관련 변인들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증분타당도 확인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원척도와 동일하게 회피, 수용, 활용의 3요인 모형 구조가 지지되었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3요인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하게 나타나 한국판 심리적 유연성 척도의 3요인 구조를 확정하였다. 셋째, 심리적 유연성은 심리적 안녕감, 삶 만족, 삶의 의미와 정적 관계를 나타냈고, 정서적 고통과는 부적 관계를 나타내 수렴 및 변별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넷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준거 변인에 대한 고유한 설명량을 보여 증분타당도가 확인되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한국판 심리적 유연성 척도(K-PPFI)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임이 지지되었다. 이는 K-PPFI가 국내에서 심리적 유연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rsonalized Psychological Flexibility Index(PPFI) developed by Todd B. Kashdan(2020). Method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300 adults, suggesting that the same three-factor model structure as the original scale was supporte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228 adults, the model fit was good, confirming the structure of the three factors of the Korean version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scale. Results The Korean version of the Personalized Psychological Flexibility Index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satisfaction with life, and meaning in life,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verifying construct validity. In addition,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in-cremental validity of the index, suggesting that the construct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is well discriminated from the K-AAQ-Ⅱ. Conclusion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Personalized Psychological Flexibility Index is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measuring the concept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This study ends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명희(Myeong-Hee Son),이희경(Hee-Kyung Lee). (2024).한국판 심리적 유연성 척도의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3), 477-493

MLA

손명희(Myeong-Hee Son),이희경(Hee-Kyung Lee). "한국판 심리적 유연성 척도의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3(2024): 477-4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