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태패러다임(NEP)의 관점으로 본 고등학생의 생태 관련 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160

영문명
A Qualitative Study on Ecology-related education exper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ew Ecological Paradigm (NEP)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남미자 목정연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3호, 767~77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7.15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논문은 생태문명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교육의 역할을 모색하기 위하여, 현재 학교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생태 관련 교육 경험을 생태패러다임(NEP)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은 면담을 활용한 질적연구이다. 학교교육을 통하여 형성된 학생들의 생태 패러다임을 파악하고자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21명의 생태 관련 교육 경험, 생태위기 등 생태 관련 인식 등을 면담하고, 그들의 경험과 인식을 생태위기, 자연의 균형, 반인간예외주의, 반인간중심주의, 성장의 한계를 포함한 생태패러다임을 분석틀로 활용하였다. 결과 학생들의 생태 관련 교육 경험은 ‘개인적 실천 중심 교육’과 같이 협소한 이해와 개인 수준의 실천에 머물렀으며, ‘생태위기 극복을 위한 과학기술’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또한 인간을 지구생태계 내에서 가장 우월적 존재인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로 이해하고 있었다. 이러한 경험과 인식의 기저에는 ‘생태위기보다 중요한 대학입시’가 자리 잡고 있어 생태위기에 대한 적극적 관심과 실천이 어려웠다. 이들의 생태 관련 교육 경험의 의미를 생태패러다임(NEP)에 초점을 맞추어 ‘생태위기의 지엽적 이해’, ‘성장이데올로기에 포섭’, ‘공고한 인간예외주의’, ‘인간중심적 이원론’으로 분석하였다. 결론 생태문명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교육은 근대적 패러다임을 토대로 한 사회, 경제, 문화의 구조 전반에 대한 비판과 성찰을 토대로부터 시작되어야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o explore the role of education in the transition to ecological civilization, this paper analyzed the current ecological-related educational experience in school education, focusing on the ecological paradigm (NEP). Methods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using interview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cological paradigm of students formed through school education, 21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were interviewed with ecological education experiences and ecological perceptions such as ecological crises, fragility of nature's balance, anti-anthropocentrism, anti-exemptionalism and growth limits. Results Students' ecological education experiences remained in narrow understanding and individual-level practice, such as “personal practice-oriented educat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to overcome the ecological crisis” were considered important. It also understood humans as the “top predator of the ecosystem,” the most superior being in the Earth's ecosystem. Underlying thes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was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which is more important than the ecological crisis,” making it difficult to actively pay attention to and practice the ecological crisis. Focusing on the new ecological paradigm (NEP), the meaning of their ecological-related educational experiences was analyzed as ‘a peripheral understanding of the ecological crisis’, ‘inclusion to growth ideology’, ‘solid human exceptionalism’, and ‘human-centered dualism’. Conclusions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ecological civilization, education should begin with criticism and reflection on the overall structure of society, economy, and culture based on the modern paradig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학생의 생태 관련 교육 경험
Ⅳ. 생태패러다임(NEP)으로 본 생태 교육 경험의 의미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미자,목정연. (2023).생태패러다임(NEP)의 관점으로 본 고등학생의 생태 관련 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3), 767-779

MLA

남미자,목정연. "생태패러다임(NEP)의 관점으로 본 고등학생의 생태 관련 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3(2023): 767-7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