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2학년 학생의 진로 활동 경험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이용수 107

영문명
Classification of latent profil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career activity experiences of 2nd 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엄희수 김재철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3호, 119~13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7.15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부산교육종단연구(Busan Education Lomgitudinal Study: BELS)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4차(2019)~5차년도(2020)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학생의 진로 활동 경험에 따른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잠재계층별로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잠재계층이 진로성숙도,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방법 ‘담임교사와 상담’, ‘진로교사와 상담’, ‘사교육 종사자와 상담’, ‘부모님과 상담’, ‘진로 관련 검사 실시’, ‘상급학교 입시 설명회 참석’, ‘매체 활용 정보 수집’ 등 7개의 진로 활동 경험 유무를 바탕으로 잠재계층을 4개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4개의 잠재계층은 진로 활동 경험과 관련된 각 유형의 특성을 반영하여 ‘담임교사 의존형 집단’, ‘적극 진로 탐색형 집단’, ‘진로교사 의존형 집단’, ‘진로 정보 수집형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결과 부모 의사소통이 높게 나타난 ‘적극 진로 탐색형 집단’과 ‘진로 정보 수집형 집단’에서 높은 진로성숙도, 학습참여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나타났다. 하지만 ‘적극 진로 탐색형 집단’은 학업성취도가 낮게 나타난 데 비해, ‘진로 정보 수집형 집단’은 부모 애착과 자아존중감, 학업성취도가 모두 높은 결과를 보였다. 불안·우울이 높은 학생의 경우, ‘진로 정보 탐색형 집단’ 또는 ‘진로교사 의존형 집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진로 활동 경험을 유형별로 나누어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각 잠재계층이 학습과 관련된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4th(2019) to 5th(2020) years from the 4th to 5th years of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Elementary School panel to classify latent classes according to their career experience,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career maturity, learning particip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Methods The latent classes were classified into four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even career activities, including ‘counseling with homeroom teachers’, ‘counseling with private education workers’, ‘counseling with parents’, ‘conducting career-related tests’, ‘attending senior school entrance briefing’, and ‘collecting media use information’. The four latent classes were named ‘primary teacher-dependent group’, ‘active career search group’, ‘career teacher-dependent group’, and ‘career information collection group’,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related to career activity experience. Results High career maturity, learning particip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found in the “active career search group” and “career information collection group” with high parental communication. However, while the “active career search group” showed low academic achievement, the “career information collection group” showed high results in parental attachment,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case of students with high anxiety and depression, it was found that they were likely to be included in the “career information search group” or the “career teacher-dependent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lassified latent classes by dividing career activity experiences by type, and analyzed the impact of each latent class on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엄희수,김재철. (2023).중학교 2학년 학생의 진로 활동 경험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3), 119-135

MLA

엄희수,김재철. "중학교 2학년 학생의 진로 활동 경험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3(2023): 119-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