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양강의 내 메타버스 공간 활용에 대한 대학생의 경험 분석

이용수 322

영문명
An Analysis of College Student Experience on the Use of Metaverse Space in Liberal Arts Lectur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여주 선혜연 이도연 이애선 조현진 신지윤 오솔길 정소울 최영숙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3호, 297~31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7.15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교양강의에서 메타버스 공간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경험에 대해 분석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에 대한 교양 수업에서 메타버스 활용 수업에 참여했던 1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속에서의 경험과 관련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구성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심층 면담 결과는 지속적 비교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5개 범주와 14개 하위 범주, 37개의 개념이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5개의 범주는 1)메타버스 수업 전 기대와 우려, 2)부담 없는 소통 대 교류의 한계, 3)의사소통에 대한 성찰과 적용, 4)아바타를 통한 새로운 정체성, 5)현존감을 통한 관계형성이었다. ‘메타버스 수업 전 기대와 우려’ 범주의 하위 범주는 새로운 수업 공간에 대한 기대, 새로운 시도에 대한 부담, ‘부담 없는 소통 대 교류’ 범주의 하위 범주는 대면 만남보다 편하고 솔직한 대화, 비언어적 정보 부재로 깊은 소통의 제약, ‘의사소통에 대한 성찰과 적용’ 범주의 하위 범주는 대화방식에 대한 자기 인식, 경험으로 습득한 대화 기술의 적용, 평소보다 적극적인 대화 시도, ‘아바타를 통한 새로운 정체성’ 범주의 하위 범주는 나를 드러내지 않는 자유로운 대화, 관계에서의 의구심과 염려, 상대방과의 편견 없는 만남, 새로운 정체성의 형성, ‘현존감을 통한 관계 형성’ 범주의 하위범주는 타매체보다 높은 수준의 현존감 경험, 흥미로운 메타버스 공간에서 수월한 관계 형성, 친밀하고 사적인 만남의 가능성이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교양강의에서 메타버스 공간 활용에 대한 대학생의 경험을 깊이 있게 탐색함으로써 향후 메타버스 공간을 활용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with the use of metaverse in humanities lectures, utilizing the Gather town platform. Methods 15 university students who had taken humanities courses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s by construct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e interview data was transcribed verbatim and analyzed using a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Results The analysis resulted in 5 categories, 14 subcategories, and 37 concepts were derived, and the 5 categories were 1)expectations and concerns before metaverse classes, 2)limitations of relaxed communication versus exchange, 3)reflection and application of communication, 4)new identity through avatars, and 5)relationship formation through presence. The subcategories of ‘expectations and concerns before metaverse class’ were the expectation of a new class space and the burden of new attempts. The subcategories of ‘limitations of relaxed communication versus exchange’ were more comfortable than face-to-face meetings, honest conversation, and deep communication limitations due to the absence of non-verbal information. The subcategories of ‘reflection and application of communication’ were self-recognition of communication methods, application of communication skills acquired through experience, and attempts to communicate more actively than usual. The subcategories of the ‘new identity through avatars’ were free conversations that do not reveal themselves, doubts and concerns in relationships, encounters without prejudice.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by deeply exploring college students' experiences of using the metaverse space in liberal arts lectures, it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using the metaerse space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여주,선혜연,이도연,이애선,조현진,신지윤,오솔길,정소울,최영숙. (2023).교양강의 내 메타버스 공간 활용에 대한 대학생의 경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3), 297-317

MLA

정여주,선혜연,이도연,이애선,조현진,신지윤,오솔길,정소울,최영숙. "교양강의 내 메타버스 공간 활용에 대한 대학생의 경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3(2023): 297-3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