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MZ세대의 직업 가치관과 대학 생활 만족도의 관계

이용수 271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Values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among MZ Gener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Planning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서경화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3호, 491~50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7.15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MZ세대의 직업 가치관, 진로 계획성 및 대학 생활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 YP) 조사 중 14차(2020) 자료를 이용하여 직업 가치관, 진로 계획성, 대학 생활 만족도에 관한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R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실시하였으며 모형추정 방법으로 최대우도법(ML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을 활용하였다. 결과 MZ세대에게 진로 계획성은 직업 가치관과 대학 생활 만족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내재적 직업 가치관은 대학 생활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진로 계획성에 의해 그 영향이 높게 나타났다. 내재적 직업 가치관을 높게 인지할수록 진로 계획성에 정(+)의 영향을 주고, 진로 계획성은 대학 생활 만족도를 높이는데 영향을 주게 된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혁신을 위한 방향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 진행되는 진로교육에 대한 재점검과 체계적인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진로 교육에 대한 내용이 직업 세계에 대한 단순한 이해와 정보를 넘어서서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보다 높은 지적 추구를 유도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둘째, 대학 생활 만족도를 높이는 정책의 일환으로 직업에 대한 인식 변화 및 개선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특히 대학 교육과정 개선에 있어서 각 학문의 최신 트렌드 반영과 더불어 학습자에 내재적 가치를 반영할 수 있는 면밀한 학습자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의 내재적 직업 가치관을 고양할 수 있는 진로역량 강화 프로그램 마련과 이를 가시적으로 대학 생활 성과와 연계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ob values, career planning,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among the MZ generation. Method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using R was used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ob values, career planning,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using data from the 14th (2020) of the Youth Panel (YP) survey.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career planning among the MZ generation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job values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Students' intrinsic job values have a direct impact on their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this impact is particularly high through career planning. Higher perceived intrinsic job values positively influence career planning, which in turn, has a positive effect o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posed for university innovation. First, a reassessment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at universities is necessary,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programs. Career education should go beyond simple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about the job world and consider how to induce self-goal setting and higher intellectual pursuit. Second, as part of policies to increase student satisfaction, there is a need to include changes and improvements in the perception of careers. In particular, in improving university education, detailed learner analysis that can reflect inherent values in addition to the latest trends in each field of study should precede.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areer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s that can foster students' inherent occupational values and a system that can visibly link these programs to university life achievem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경화. (2023).MZ세대의 직업 가치관과 대학 생활 만족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3), 491-507

MLA

서경화. "MZ세대의 직업 가치관과 대학 생활 만족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3(2023): 491-5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