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동의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용수 97

영문명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tudents’ Creative School Environment Perception: Focusing on Teacher and School Environment, Parents, Student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윤가영 장재홍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3호, 67~8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7.15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을 결정하는 요인을 탐색함에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를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KICCE)에서 제공한 한국아동패널(PSKC) 12차년도(2019년)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체적으로 교사, 학부모, 학생 측면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요인이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의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영향을 주는 교사 요인을 확인한 결과, 교사와 학생의 친밀도가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영향을 주는 학부모 요인을 확인한 결과, 부모와의 의사소통, 신뢰감이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 요인 확인 결과, 교우관계와 교사관계가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특히, 교사와 아동의 관계는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였다. 한편, 학생이 느끼는 학업 스트레스는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서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는 물리적 환경 자체보다 관계성 측면이 중요한 요인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리적 환경 조성 및 관계적 측면에서의 개선이 필요하며, 이를 지원하고 조력할 수 있는 시스템과 노력이 요구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perception of the creative school environment.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assessed in 2019. To be more specific, it was examined after dividing into teacher and school environment, parents, and individual aspects. Results The finding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dentifying teacher and school environment factor that affects students’ creative school environment perception, it was found that the intimacy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ption. Second, as a result of exploring and identifying the parents’ factor,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and trust with par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perception. Third, in the final model exploring and confirming student individual’ factor,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teache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erception.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in predicting creative school environment percep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cademic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the creative school environment.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aspect was an important factor in recognizing the creative school environment rather than the physical environment itsel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and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support and assist to form and develop creativity under school environment by creating a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improving relationship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가영,장재홍. (2023).아동의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3), 67-80

MLA

윤가영,장재홍. "아동의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3(2023): 67-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