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대인관계 척도개발

이용수 220

영문명
Development of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은미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3호, 509~52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7.15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지각하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대인관계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방법 선행연구와 DSM-5 진단기준을 통하여 예비 문항을 구성하고, 델 파이 기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30문항을 도출하였다. 특수학교 교사와 일반 유치원, 초등학교 교사의 동의를 구하고 49명의 ASD 아동과 일반적으로 발달하는 115명의 아동을 포함하여 총 164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교사가 평정하는 대인관계 검사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교사로부터 검사 결과자료를 수집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하여 문항의 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α는 .975로 신뢰도를 확인하고, 구인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행하고 3 요인 구조로, KMO는 .935로 요인분석이 적합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RMSEA=.098로 보통 적합도, TLI=.863, CFI=.873으로 양호한 수치는 확보하지 못했지만 수용할 수 있는 적합도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K-SCQ와 준거 타당도를 확인하여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지각하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대인관계 검사 개발 및 타당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에 의하여 고안된 대인관계 검사는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선별하는 데 목적을 두지 않았으나 학교 현장이나 미취학 아동의 어린이집, 혹은 유치원 현장에서 전형적인 발달에 도달하지 못하는 아동을 교사의 관찰만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선별할 뿐 아니라 ASD 진단을 위한 객관적 사전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도 가능한 척도임이 K-SCQ와 대인관계 검사 결과와 주고받는 상관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Locke와 그의 동료(2014)에 의해 고안된 Social Skills Q-Sort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독특하므로 종종 학교 현장에서 무시되는 관점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일반적으로 발달하는 또래와의 대인관계에 대한 격차에 대한 추가 증거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대인관계 검사는 ASD 아동의 대인관계 특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강점과 약점을 확인하는 검사임에 의의가 있다. 대인관계 검사 세 가지 요인 중 하나인 대인관계 요인에서는 일반아동과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차이(T-test=-15.570)를 보이나 이 요인은 ASD 아동 검사 결과 17.82와 비교하여 일반아동의 점수 결과는 38.98로 다른 요인에 비하여 낮은 결과로 아동 모두에게 대인관계 요인을 적용할 수 있는 검사로 해석할 수 있음에 의의가 있다. 대인관계 검사는 사회성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확인하는 데 의의가 있으며 사회적으로 소외되어 대인관계의 어려움에 부닥친 아동을 선별하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사회성 프로그램을 연구의 사전 사후의 측정 도구로의 기능을 부여하는 데 있어서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the validity of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st tool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perceived by teachers. Methods As for the research method, preliminary questions were form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DSM-5 diagnostic criteria, and finally 30 questions were derived through the Delphi technique. Consent was obtained from special school teachers, general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 total of 164 children, including 49 ASD children and 115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were evaluated by the teacher,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do thi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performed. Results In order to derive the results, data were collected from teachers,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items was evaluated with Cronbach's α through the SPSS 2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 was .975,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construct validity. With a three-factor structure, KMO=.935 is suitable for factor analysis, and RMSEA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s .098, moderate fit, TLI=.863, CFI=.873, a good value was not obtained, but it was confirmed as an acceptable level of fit. In addition, K-SCQ and criterion validity were confirmed to confirm a significant correlation. Conclusions In this study, I aimed to confirm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st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perceived by teachers. The purpose of the interpersonal test designed by this researcher was not to screen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but to scree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only through observation by teachers of children who have not reached typical development at school sites, daycare centers for preschoolers, or kindergarten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by the correlation between K-SCQ and interpersonal test results that it is a scale that can serve as an objective preliminary information for ASD diagnosis.In addition, this study,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Social Skills Q-Sort evoked by Locke and colleagues (2014), in a reference that is unique and often ignored in the school setting, provides insight into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ith the peers they normally interact with. It is worthwhile to provide additional evidence for the imbalance.it collects information on the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SD and identifies strengths and weaknesses. In the interpersonal factor, which is one of the three factors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s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test=-15.570), but this factor is 38.98 compared to the ASD child test result of 17.82. As a result, it is meaningful that it can be interpreted as a test that can apply interpersonal factors to all children with a lower result than other factors. The interpersonal test is meaningful in identifying the most important part of sociability and in selecting children who are socially alienated and face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it is useful in assigning the function of the sociality program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 a pre- and post-measurement tool of the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미. (2023).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대인관계 척도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3), 509-524

MLA

이은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대인관계 척도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3(2023): 509-5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