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실재감 및 능동적 학습에 기반한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설계 개발과 학습효과 연구

이용수 317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taverse-based education platform (MEP) focusing on learning presence and active learning and its effect on learning outcomes: The case of ‘Election Land’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임지연 김정주 하형석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3호, 1~1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7.15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습 실재감 및 능동적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MEP)의 설계 개발과 학습효과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방안을 논의하였다. 방법 MEP의 설계 개발과정을 분석하였으며, 2022년 2월 18일부터 3월 10일까지 MEP를 방문한 573명중에서 사전-사후 설문 링크에 모두 응답한 245명의 학습효과(지식, 태도, 행동)를 분석하였다. 상호작용 내용분석 대상은 설문 소감 및 게시판에 글을 올린 260명 중에서 221명의 소감을 분석하였다. 결과 설계 과정은 학습실재감과 능동적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그램논리를 개발하여 설계하였다. 상호작용 내용분석 결과, 학습실재감(현실감, 태도/행동변화)과 능동적학습(주도성, 유익성, 창의성, 용이성)에 대한 반응이 많이 나타났다. 사전-사후 학습효과 비교분석 결과(N=245명), 지식 영역에서의 변화가 높고, 다음으로 태도와 행동의 변화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투표권여부에 따른 교차분석(행백분율, 카이제곱) 결과, 지식 영역은 차이(1.8%p)가 크지 않지만, 투표권이 있는 집단에서 태도(14.8%)와 행동(10.7%p) 영역에서 학습효과의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참여자의 학습 실재감과 능동적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메타버스 선거교육 플랫폼이 어떻게 설계되었으며 지식, 태도 및 행동 측면에서 학습효과를 향상하는데 주요한 요소를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design development and learning effect of the Metaverse Education Platform (MEP) to promote learning presence and active learning. Methods The design and development process of MEP was analyzed, and the learning effect (knowledge, attitude, behavior) of 245 people who responded to both the pre-post survey link among 573 people who visited the MEP from February 18 to March 10, 2022 were analyzed. The interactive content analysis subjects analyzed the impressions of 221 people out of 260 people who posted their opinions on the questionnaire and bulletin boards. Results The design process was designed by developing the program logic to promote learning reality and active learning. As a result of the interactive content analysis, there were many responses to learning presence (realism, attitude/behavioral change) and active learning (initiative, benefit, creativity, ease).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pre-post learning effect (N=245 persons), the change in knowledge area was high, followed by and behavioral changes. As a result of cross-analysis (row percentage, chi-square) according to age and voting righ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1.8%p) in the knowledge domain, but the learning effect in the attitude (14.8%) and behavior (10.7%p) domains in the voting group. difference was high. Conclusions This study proposed and discussed how the metaverse election education platform was designed to promote participants' learning presence and active learning, and suggested and discussed the main elements to improve learning effects in terms of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지연,김정주,하형석. (2023).학습실재감 및 능동적 학습에 기반한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설계 개발과 학습효과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3), 1-17

MLA

임지연,김정주,하형석. "학습실재감 및 능동적 학습에 기반한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설계 개발과 학습효과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3(2023): 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