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바그너 ‘현상’과 음악의 탈정치화-가능성과 한계

이용수 159

영문명
Wagner as the Phenomenon and the De-politicization of Music: On Its Own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정우진(Chung Wooji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4권 6호, 523~54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숭배와 혐오, 양극단의 반응을 자아내며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해온 작곡가 바그너(Richard Wagner, 1813-1883)를 하나의 ‘현상’으로 보는 취지를 명확히 함으로써 상반된 여러 이질적인 요소가 서로 떼려야 뗄 수없이 뒤얽힌 복잡한 바그너 현상에 과연 어떻게 적절한 반응 방식을 보일 수 있을지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나름대로 답변을 제시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그 과정에서 바그너 음악을 작곡가의 반유대주의 사상이나 히틀러와 나치에 의한 악용에서 구제하려는 전략으로서 ‘음악의 탈정치화’ 시도는 가능성과 한계를 모두 노정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그토록 많은 사람이 바그너에 대해 왈가왈부하며 엄청난 관심을 쏟는 이유부터 살펴본 다음, 가장 ‘독일적인’ 것의 골수라 일컬어지곤 하는 바그너 음악에 토마스 만(Thomas Mann, 1875-1955)이 두 번 전율한 이유를되짚어봄으로써 바그너 ‘현상’의 요체를 명확히 하는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이를 토대로 바그너의 마지막 음악극<파르지팔>, 특히 그 결말에 대한 (이데올로기적으로) 상반된 수용과 해석을 구체적으로 검토하면서 미적인 자율성에 기반한 ‘음악의 탈정치화’가 바그너 현상의 적절한 수용을 위한 필요조건임을 예증할 것이다. 계속해서 ‘음악의 탈정치화’에 수반된 한계 또한 논구하기 위해 파리와 프로방스의 몇몇 바그너 열광자들이 시각화한 바그너 음악의 공감각 효과를 문화산업의 플러깅 효과와 대비시켜봄으로써 ‘현상’으로서의 바그너에 대한 비판적 반응 방식의 필요성을 강조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critically how to make an appropriate response to Richard Wagner as the phenomenon (and his music) in which many different, heterogeneous, sometimes contradictory aspects find so entangled as not to be able to pull them apart and to suggest an answer in its own. For this, the first thing we should do is to make clear it to be meant by the phenomenon of Wagner. As the discussion goes on, it is expected that the attempt called the de-politicization of music as a kind of strategy for rescuing the composer from his anti-Semitism or the abuse by Hitler and Nazi disclose its own possibilites and limitations. The study begins with taking a look into the reason why so many people in almost every areas continue to argue pro and contra Wagner and then in particular why Thomas Mann has been shivered with the music of Wagner twice, reflecting to himself and contemplating on Wagner’s music regarded as the quintessence of the ‘German’ in order to single out the nub of the phenomenon Wagner. Built upon this, it demonstrates that the de-politicization of music based on the aesthetic autonomy is necessary for the relevant reception of the phenomenon of Wagner by examining in detail the (ideologically) incompatible interpretations of Parsifal, Wagner’s last Musikdrama, especially its conclusion. Still, for the purpose of inquiring into the limitations involved in the ‘de-politicization of music’ the study carry out the comparison of the synaesthetic effect aroused by Wagner’s music with the so-called plugging effect in reference to the mechanism in cultural industry, resulting in the emphasis on the necessity or inevitability of a critical way of responding to the Wagner phenomenon.

목차

1. 머리말
2. ‘현상’으로서의 바그너
3. 열린 해석의 가능성: <파르지팔>의 경우
4. 눈으로 듣는 바그너: 공감각 효과 vs. 플러깅 효과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우진(Chung Woojin) . (2022).바그너 ‘현상’과 음악의 탈정치화-가능성과 한계. 문화와융합, 44 (6), 523-544

MLA

정우진(Chung Woojin) . "바그너 ‘현상’과 음악의 탈정치화-가능성과 한계." 문화와융합, 44.6(2022): 523-5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