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신입생의 부모 애착 수준에 따른 EEG-α와 SMR의 반구별 활성화 차이

이용수 202

영문명
Differences in hemisphere activation of EEG-α and SMR according to the level of parental attachment among university freshme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전효정(Jeon, Hyo Jeong) 고은경(Goh, Eun-Kyo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0호, 741~75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 수준을 잠재프로파일분석으로 분류하고 애착 수준에 따라 뇌파 활성도에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방법 116명의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입학 직후에 부모에 대한 애착(IPPA: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을 평정하고 잠재프로파일분석으로 집단을 구분하였다. 뇌파 활성도는 뇌전도(EEG: electroencephalograph)로 측정되었으며, 눈을 감은 휴지기와 과제 수행 조건에서 측정된 상대뇌파의 평균을 비교하였다. 결과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각각에 대한 애착 수준의 잠재계층은 모두 2가지 유형, 즉 애착 수준이 ‘낮은’ 유형(모: 33.6%, 부: 45.6%)과 ‘높은’ 유형(모: 66.4%, 부: 54.4%)으로 나타났다. 둘째, 뇌파 유형 중에서 부모애착 수준에 따라 활성도에 차이를 보이는 경향은 EEG-α(alpha)와 SMR(sensorimoto rhythm)에서 나타났다. 셋째, 이완 조건에서 높았던 EEG-α 활성도는 각성 조건에서 감쇄되는데 부모애착 수준이 높으면 더 많은 감쇄가 나타난다. 또한, EEG-α는 좌측 우세의 반구비대칭성을 보이는데 부모애착 수준이 높으면 비대칭성이 더 강해진다. SMR 활성도에 의한 비대칭성은 애착 수준보다는 우세한 감각운동 방향을 반영한다. 결론 EEG-α의 활성화는 부모애착과 관련하여 불안 성향의 지표이자 억제기능 조절의 지표가 될 수 있다. 신입생의 부모와의 애착 수준과 관련된 불안을 고려하여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attachment level of college freshmen to their parents by latent profile analysi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EEG activity according to the attachment level. Methods 116 freshman college students (Female: n = 91, Male: n = 25) assessed the IPPA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for their parents immediately after admission and grouped them by latent profile analysis. EEG activity was compared with the average of relative EEG measured in the resting period with eyes closed and the task condition performing the mental arithmetic test. Results First, the latent hierarchy of attachment levels to their parents is of two types: ‘low’ type (mother: 33.6%, father: 45.6%) and ‘high’ type (mother: 66.4%, father: 54.4%) were grouped together. Second, among EEG types, the tendency to show a difference in activ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attachment was found in EEG-α and SMR. Third, the alpha oscillation, which was high in the relaxation condition, decreases in the task condition and decreases more when the level of attachment is high. In addition, in the mental arithmetic test, alpha activation was higher in the left hemisphere than in the right, and this asymmetry was stronger as the attachment level increased. Conclusions Alpha oscillations can be an indicator of trait anxiety and control of inhibitory function, both of which can be related to attachment level. When supporting freshmen s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ir level of attachment to their parents and trait anxie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효정(Jeon, Hyo Jeong),고은경(Goh, Eun-Kyoung). (2022).대학 신입생의 부모 애착 수준에 따른 EEG-α와 SMR의 반구별 활성화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0), 741-754

MLA

전효정(Jeon, Hyo Jeong),고은경(Goh, Eun-Kyoung). "대학 신입생의 부모 애착 수준에 따른 EEG-α와 SMR의 반구별 활성화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0(2022): 741-7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