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00년 이후 출생한 학생들의 희망직업과 희망교육 수준 추이 탐색

이용수 240

영문명
Trend analysis of desired job and desired education level of students born after 2000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규리(Choi, Kyoulee) 오윤정(Oh, Yoonje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1호, 71~8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2000년 이후 출생한 학생들의 희망직업 유무, 희망직업 순위, 희망직업 이유, 희망교육수준의 변화 및 관계를 탐색하였다. 방법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진로교육현황조사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원자료(2016~2019년)를 활용하여 변인에 대한 연도별 차이에 대한 x2검정을 수행하였으며 사후분석을 실시하여 부집단을 비교하였다. 또한 2020년 고용노동부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의 전직종별 필요인원 비율과 초·중학생의 응답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첫째,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희망직업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후반부로 갈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하락하였다. 운동선수, 교사, 요리사, 경찰이 초·중학생이 공통적으로 가장 희망하는 직업이었으며 직종별로는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교육·법률·사회복지·경찰·소방직 및 군인’을 희망하는 비율이 높았고, ‘연구직 및 공학기술직’의 희망비율은 감소추세에 있으며, ‘경영·사무·금융·보험직’의 희망비율이 가장 낮았다. 둘째, 희망직업 선택 이유는 초등학생과 중학생 모두 ‘내가 좋아하고 잘 할 것 같아서’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희망교육수준은 ‘대학교’의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고등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초등학생은 ‘대학교’를 포함하여 ‘전문대학’과 ‘대학원’의 응답률이, 중학생은 ‘전문대학’과 ‘대학원’의 응답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변화를 보였다. 결론 다양한 직업군에 대한 탐색, 이공계 직업군에 대한 이해 제고, 수요자 중심의 진로교육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s of presence of desired job, desired job ranking, and desired education level of students born after 2000. Methods For this in the study us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response to Career Education Status Research of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rom 2016 to 2019. Results First, the percent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ho responded that they have desired job was relative high, but it de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e most desired job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thletes, teachers, chefs, and police officers. By occupational categories, “Art·Design·Broadcasting·Sports” and “Education·Law·Social Welfare·Police·Fire Service·Military”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desired job but “Research·Engineering & Technology” was decreasing, and “Business·Office·Finance·Insurance” had the lowest. Second, the highest response proportion of the reason for choosing the desired job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as that they liked and would do well. “University” was the most responses to desired education level but perception of higher education has change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onse proportions of junior college,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continued to decline, and middle school students’ response proportions of junior college and graduate school did.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explore various occupational groups, enhance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engineering occupations, and provide consumer-centered career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규리(Choi, Kyoulee),오윤정(Oh, Yoonjeong). (2021).2000년 이후 출생한 학생들의 희망직업과 희망교육 수준 추이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1), 71-85

MLA

최규리(Choi, Kyoulee),오윤정(Oh, Yoonjeong). "2000년 이후 출생한 학생들의 희망직업과 희망교육 수준 추이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1(2021): 71-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