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도교육청의 혁신교육지구 정책 분석

이용수 1129

영문명
The Office of Education s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Policy Analysis: Focusing on the 2020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Pla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수정(Park, SooJung) 김경주(Kim, KyoungJu) 방효비(Fang, XiaoFe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1호, 761~77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1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혁신교육지구 사업은 2011년에 경기도교육청에서 처음 시작하여 10년이 경과하였고, 대부분의 교육청에서 계획·운영하고 있는 정책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도교육청에서 추진하는 혁신교육지구 정책의 내용을 파악하여 종합적, 지역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혁신교육지구 정책의 현황에 대한 이해와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혁신교육지구를 추진하는 16개 시도교육청의 2020학년도 혁신교육지구 계획 문서를 수집하고, 혁신교육지구의 명칭, 비전, 개념, 목표, 거버넌스, 조례, 추진과제, 구성원 역량 강화, 질 관리를 분석 항목으로 설정하여 주요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혁신교육지구의 명칭으로는 혁신, 행복, 지역명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혁신교육지구의 비전에서는 마을/지역이, 개념에서는 소통/협력이 많이 나타났다. 혁신교육지구 사업이 기초자치단체 단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초단위 거버넌스에 대한 내용이 많았고,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관련 조례를 제정하는 곳이 많았으며, 마을교육공동체 조례에 기반하는 경우가 많았다. 혁신교육지구의 추진과제는 마을학교 및 교육공동체 운영 지원이, 구성원 역량 강화는 마을 강사(활동가)에 대한 연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질 관리를 위해 자체평가와 종합평가를 실시하고 있었다. 결론 첫째, 혁신교육지구 정책 도입 시기에 따른 지역 간에 시차가 있었지만 정책의 동형화 현상이 나타났다. 둘째, 혁신교육지구 추진과제는 지역의 특색을 반영하고 있으며, 지역 주민의 수요와 참여에 기반한 정책이 되어야 한다. 셋째, 혁신교육지구에 대한 거버넌스가 구축되고 조례가 제정된 지역에서 혁신교육지구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넷째, 혁신교육지구의 구성원의 역량 강화는 다양한 대상과 방법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project first started in 2011 at the Gyeonggi Office of Education, and 10 years have passed, and it is a policy planned and operated by most offices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understanding and implications for the current state of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policy by analyzing the comprehensiv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by grasping the contents of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policy promoted by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16 provinci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at promote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collect the planning documents for the 2020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and analyze the name, vision, concept, goal, governance, ordinances, promotion tasks, member competency strengthening, and quality management of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The main contents were analyzed by setting them as items. Results Innovation, happiness, and local names were most often used as the names of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s. In the vision of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villages/regions appeared, and in the concept, communication/cooperation appeared a lot. Since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project is carried out by the basic municipality, there is a lot of content on local governance, and there are many places that enact related ordinances for smooth project promotion, and in many cases it is based on the ordinance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The promotion task of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was support for the operation of village schools and educational communities, and training for village instructors (activists) was conducted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members, and self-evaluation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were conducted for quality management. Conclusions First, there was a time lag between regions according to the time of introduction of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policy, but the policy was isomorphism. Second, the initiatives for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should be a policy based on the needs and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Third,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projects are actively being promoted in regions where governance for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has been established and ordinances have been enacted. Four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members of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through various targets and method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수정(Park, SooJung),김경주(Kim, KyoungJu),방효비(Fang, XiaoFei). (2021).시도교육청의 혁신교육지구 정책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1), 761-778

MLA

박수정(Park, SooJung),김경주(Kim, KyoungJu),방효비(Fang, XiaoFei). "시도교육청의 혁신교육지구 정책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1(2021): 761-7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