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영어 듣기‧말하기 평가도구의 현장적용 가능성 연구

이용수 514

영문명
A Study on Applicability of Assessment Too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Listening and Speaking Competence Based on 2015 Revised English Curriculu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재희(Park, Jae-hee) 정현성(Chung, Hyuns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4호, 601~63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교육과정 초등 영어 5~6학년군 듣기 말하기 성취기준을 교수· 학습 및 평가의 준거로 반영한 평가도구를 개발한 후, 현장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와 학생설문을 실시하였다. 교사와 학생설문은 전국의 초등영어를 지도하고 있는 119명의 교사와 2017년 현재 G광역시 W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6학년 학생들 20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교사 및 학생 설문조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듣기 및 말하기 평가과업 개발 지침을 만들어 적용하였 다. 첫째, 듣기평가 과업은 차시별 교수학습활동 과정 중 형성평가로 운영하며, 후속하는 표현활동의 토대가 되도록 구안한다. 둘째, 듣기는 이해기능의 특성상, 상중하로 이해한 정도에 따라 평가한다. 셋째, 평가 실행에 어려움이 많은 말하기는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외에, 평가기준의 상, 중, 하를 평정하기 위한 별도의 말하기 평가 루브릭을 제작한다. 넷째, 말하기 평가 루브릭은 말하기 채점기준에 포함되어 활용된다. 그 다음 듣기말하기 성취기준의 구체화 명료화 과정을 거쳤으며 명료화과정을 거친 듣기말하기 성취기준과 교사학생설문결과를 토대로 9차시 분의 평가과제를 개발하였다. 각 평가과제는 목표 및 채점기준, 입력자료, 수행과제, 활동절차,수행결과물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9차시분의 평가과제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두 차례에 걸쳐, 평가내용 타당도와 채점기준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평가과제 및 채점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1차 검증을 받은 결과, 듣기·말하기 통합과제는 부자연스럽고 지나친 인지적 능력에 치우쳤으며, 채점기준이 불명확하고 너무 복잡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를 수정하여 듣기와 말하기가 자연스럽게 연계되도록 하였고, 듣기와 말하기 채점기준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수정하였다. 2차 검증을 받은 결과, 높은 점수로 평가과제의 타당도를 확보하고 수업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ssessment too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stening and speaking competence based on 2015 revised English curriculum and evaluate the validity and practicality of them in the classroom. For this purpose, survey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119 English teachers nationwide and 207 fifth and sixth graders in G Metropolitan City. Based on the survey results, listening and speaking assessment tasks were developed. First, the 5th and 6th graders’ listening and speaking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curriculum were analyzed. All fourteen achievements standards were evaluated in terms of curriculum conformity, clarity and practicality. Two of the standards needed to be revised, while the other standards were proved to be valid and practical. All fourteen standards were applied to developing listening and speaking assessment tasks. Each task consists of goals, input, activity and procedure, performance task, test criterion, and outcomes. Next, five experts measured these tasks on their content validity and criteria validity. The results showed that all the assessment tasks had low validity in their task and criteria. Integration of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was not authentic and communicative. The results led us to revise the tasks in three ways: First, listening and speaking have been integrated gradually and naturally. Second, the listening and speaking criteria have been made simple for the ease of administration. Third, the level descriptors of listening and speaking assessment have been clearly specified for the sake of practicality in the classroo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재희(Park, Jae-hee),정현성(Chung, Hyunsong). (2017).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영어 듣기‧말하기 평가도구의 현장적용 가능성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24), 601-630

MLA

박재희(Park, Jae-hee),정현성(Chung, Hyunsong).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영어 듣기‧말하기 평가도구의 현장적용 가능성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4(2017): 601-6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