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보건계열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습동기를 매개로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2

영문명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f Health College Students on Learning Persistence through Learning Motiv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홍수미(Soomi Hong) 윤형완(Hyeongwan Yun) 김덕원(Dukwon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3호, 982~992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15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셀프리더십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3년 1학기에 등록한 J대학 재학생 257명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학습동기, 학습지속의향 수준을 측정하고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빈도분석, 각 변수들의 경향성을 확인하기 위한 기술통계 분석, 변수들 간의 상관을 확인하기 위한 Pearson 상관관계분석, 셀프리더십과 학습지속의향의 관계에서 학습동기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서는 Hayes(2013)의 PROCESS macro Model 4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셀프리더십이 매개변인인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β=.672, p<.001), 독립변인인 셀프리더십이 종속변인인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력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β=.476, p<.001). 또한, 독립변수인 셀프리더십과 매개변수인 학습동기를 독립변인으로, 학습지속의향을 종속변인으로 투입하여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셀프리더십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은 이전보다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정적 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어 학습동기는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습지속의향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β=.365, p<.001). 결론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은 학습지속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경로에서 학습동기의 정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보건계열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을 높여 학습동기를 제고하고, 이를 기반으로 학습지속의향을 향상하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i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f health college students on learning persistence and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learning persistence. Methods 257 J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23 were subjected to a frequency analysis to measure the level of self-leadership,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continuity intention and to confirm general characteristics, 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o confirm the tendency of each variable, 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a mediating effect analys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continuity intention. For mediating effect analysis, Hayes (2013)' PROCESS macro Model 4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Results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n learning motivation, a paramet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β=.672, p<.001), and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an independent variable, on learning continuity intention, a dependent variabl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β=.476, p<.001).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a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by inputting self-leadership, an independent variable, and learning continuity, a parameter,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learning continuity as a dependent variable,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learning continuity intention decreased compared to before, but the positive relationship was still analyzed to be significant, indicating that learning motiva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elf-leadership and learning continuity intention (β=.365, p<.001). Conclusions The self-leadership of health college student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and in this path, the positiv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was confirmed. It is necessary to find a variety of ways to increase the self-leadership of health college students to enhance learning motivation, and to improve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수미(Soomi Hong),윤형완(Hyeongwan Yun),김덕원(Dukwon Kim). (2024).보건계열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습동기를 매개로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3), 982-992

MLA

홍수미(Soomi Hong),윤형완(Hyeongwan Yun),김덕원(Dukwon Kim). "보건계열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습동기를 매개로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3(2024): 982-9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