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임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 및 어려움과 요구

이용수 28

영문명
Implementation, Difficulties, and Demands of Childcare Respect for Infant Rights by Beginning Childcare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윤수빈(Su-Been Yoon) 황인애(In-ae Hw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3호, 268~292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15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임 보육교사의 어린이집에서의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 경험을 살펴보고 실행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요구를 탐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대구/경북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며, 보육 현장에 처음 입문한 경력 3년 미만의 초임 보육교사 10명을 대상으로 각각 2회씩의 개별 면담을 실시하고 연구자 저널 및 연구참여자 저널, 어린이집에서의 영유아 권리존중 관련 자료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초임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은 일과 운영에 주도권 제공하기, 영유아 본인의 권리를 인식할 수 있는 활동하기, 가정과 연계하여 영유아 권리 존중 실행하기로 구분되었다. 또한 초임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 과정에서의 어려움은 정해진 일과 운영과 업무 부담, 학부모의 과도한 요구와 불신, 저 경력 교사로서의 어려움으로 구분되었다. 이와 함께 초임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개선을 위한 요구는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을 위한 기반 마련, 영유아 권리존중 교육의 활성화, 초임 보육교사의 특성을 고려한 지원으로 구분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초임 보육교사들의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에 대한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초임 보육교사가 영유아 권리존중을 어떻게 실행하고 있는지, 실행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요구를 이해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토대로 보육 현장에서 보육교사직을 시작하게 되는 초임 보육교사들의 보다 질 높은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을 위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experience of the beginning childcare teacher's implementation of respecting infant rights in daycare centers was examined, and difficulties and demands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were explored. Methods For this study, 10 beginning childcare teacher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who worked at daycare centers in Daegu/Gyeongbuk were interviewed, and journals of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s and documents related to respecting infant righ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The implementation of respecting the rights of infant by beginning childcare teachers was divided into providing initiative in daily routine, activities to recognize the rights of infant, and implementation respecting infant rights in connection with families. Also,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respect for the rights of infant by beginning childcare teachers were divided into a set daily operations and work burdens, excessive demands and distrust from parents, and difficulties as low-experience teachers. In addition, The demand for the improvement of childcare for respecting infant rights was divided into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practice of childcare for respecting infant rights, revitalizing education for respecting infant rights, and support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beginning childcare teacher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by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beginning childcare teachers on children rights-respecting childcare, it understands how beginning childcare teachers practice children rights-respecting childcare and the difficulties and demands they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beginning childcare teachers, who will start their childcare positions in the childcare field, will be provided as basic data to come up with support measures to practice higher-quality infant rights-respecting childca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수빈(Su-Been Yoon),황인애(In-ae Hwang). (2024).초임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 및 어려움과 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3), 268-292

MLA

윤수빈(Su-Been Yoon),황인애(In-ae Hwang). "초임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 및 어려움과 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3(2024): 268-2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