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 교사 교권 관련 연구동향 분석: 최근 20년간(2004-2023)간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이용수 94
-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he Author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 Focus on Domest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Over the Past 20 Years (2004-2023)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경진(Kyoung-Jin Lee) 황성온(Sung-On Hw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3호, 920~938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15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영유아 교사의 교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교권 분야의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 교권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교권 확립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향후 교육 정책과 제도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지난 20년간(2004-2023) 이루어진 연구 중 ‘교권/교육권/권위/권리/지위/교권 침해/교권 보호’를 주제어로 ‘유아 교사/영유아 교사/유치원 교사/보육 교사’와 관련 있는 국내 주요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통해 발표된 총 66편의 논문에 대해 5년 단위로 연구 유형,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주요 연구 주제별 내용과 결과를 살펴보았다.
결과 영유아 교사 교권을 주제어로 2004-2023년까지 발표된 국내 학술지는 36편, 학위논문은 30편으로 총 66편이었으며, 연구물을 5년 단위로 분석한 결과 그 수가 증가하고 있었다. 분석대상 66편 중 양적 연구가 47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보육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45.5%로 가장 많았다. 연구 주제의 경우 교권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가 68.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연구 주제를 하위주제별로 세분화하여 빈도수를 살펴보면 교권에 대한 인식 연구가 비중이 가장 높았다.
결론 영유아 교사 교권 연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서 양질의 교육⋅보육을 위한 중요 주제라는 점에서 향후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향후에는 양적연구 외에 향후 현상에 대해 보다 해석적, 맥락적 분석이 가능하도록 관찰, 면담 등의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한 결과 도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향후에는 교사 외 학부모, 교육 및 보육전문가, 일반인 등 연구대상의 확장을 통해 다양한 의견이 반영한 연구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교권에 대한 다양한 연구 주제가 다뤄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As interest in the teaching righ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s increased, rela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continuously. However, systematic analyses of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teaching rights remain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the teaching righ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explore strategies for establishing their teaching rights an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and implications for designing future educational policies and systems.
Methods Over the past 20 years (2004–2023), a total of 66 studi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teachers/ kindergarten teachers/ childcare teachers’ were analyzed. These studies, published in major domest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were identified using keywords such as ‘teaching rights/ educational rights/ authority/ status/ violation of teaching rights/ protection of teaching rights’.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five-year intervals, focusing on research types, subjects, themes, and the content and outcomes of major topics.
Results Among the studie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authority published between 2004 and 2023, there were 36 journal articles and 30 theses, totaling 66 papers. An analysis of the research output in five-year increments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 the number of studies. Of the 66 papers analyzed,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common, with 47 studies, and 45.5% of the research focused on childcare teachers. Regarding research topics, studies on teachers' perceptions of authority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at 68.2%. When further subdividing the topics into subcategories, the perception of authority remained the most frequently studied.
Conclusions Research on the author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highlighting its importance for providing high-quality education and care. Continuous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is area is necessary. In addition to quantitative research, future studies should employ qualitative methods such as observations and interviews to allow for more interpretive and contextual analysis of emerging phenomena. Furthermore, expanding the scope of research subjects to include parents, education and care professionals, and the general public will ensure that diverse perspectives are considered. Various research topics related to teacher authority should also be explor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is critical issu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와 비율 개념 지도에 대한 초등수학 교과서 분석: 2015 개정 초등수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국내 고등학교 미술 수업 흥미 증진의 결정요인 분석: AHP 분석을 중심으로
-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와 근로자의 이직의도 간의 관계: 직무숙련도와 조직문화 인식 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초등 신규교사의 교직적응 프로파일 분석 및 영향요인 탐색
- 전공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재학생 인식 분석: 2023년도 k대학을 중심으로
- 중학생 비행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2015∼2024년 4월 게재된 학술지 코로나 전⋅후 비교
- 성격강점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AAC 활용 국내 중재 연구 동향
- 대학생 대상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4MAT 학습유형 및 Holland 진로유형 분석
- 직장인의 일상 스트레스와 자기개방의 관계에서 자기비판적 완벽주의의 조절효과
- CIPP 평가모형에 기반한 의료기관 인증평가 대비 역량 강화 교육에 대한 연구
- 문제중심학습 기반 임상실무중심의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과정, 간호지식, 간호업무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 간호대학생의 학습 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약물 계산 자신감, 약물 계산 불안감의 관계
-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간호술기 평가를 위한 프로토콜 개발: ‘환자확인’, ‘통증관리’, ‘욕창관리 및 낙상예방’과 ‘배액관 관리’
- 분노감정 완화를 위한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 효과의 메타분석
- 진로전담교사 전문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자기냉담의 이중매개효과
- 대학 실용문 쓰기의 교수-학습 내용에 따른 루브릭
- 중학교 자유학기제 미술교육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조형미술과 미술치료의 융합
- 영유아 교사 교권 관련 연구동향 분석: 최근 20년간(2004-2023)간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인식에 대한 분석
- 보건계열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습동기를 매개로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 중등 체육교사의 교사학습공동체 경험과 교사 정체성의 관계에서 교직 헌신, 교육 변화 수용 태도의 매개효과
- 자해 경험이 있는 성인들의 성인애착이 비자살성 자해에 미치는 영향: 부적정서와 자기용서의 순차이중매개효과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23호 목차
-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문화역량과 학습몰입의 순차매개효과
- 기초간호과학 병리학 수업에서 팀 기반 학습의 효과
-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 은유분석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좋은 유아수학교육 인식 분석
-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학업성취도와 임상수행능력의 관련성
- 강의평가 문항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교사 일터영성 척도 구성요인 타당화
- 부모-자녀 간의 ESG 활동 경험에 따른 부모의 ESG 인식 및 필요성과 유아의 환경보전태도, 생태소양 차이 연구
- 여성 노인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참여 경험을 통한 디지털 기기 활용과 인식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 취업모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양육스트레스와 자기자비의 순차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서지능, 직무스트레스, 교수창의성의 구조적 관계분석
- 플립러닝 적용 학습자 중심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초중고 학생의 게임 이용 시간과 학교생활 적응, 학업성취도 간 구조적 관계
- 상담자 발달수준과 동성애 혐오 간의 관계: 자기성찰의 조절효과
-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에서 핵심가치 교육을 위한 학습자 태도 관련 핵심개념어 경향성 분석 연구
- 유아교사 특성에 따른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 및 그 관계
-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전문성발달 수준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상담사의 비판적 의식이 다문화 상담 역량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상담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초임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 및 어려움과 요구
- 유아교사의 4C역량 군집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마인드셋과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의 차이
- 학습동기, 전이설계, 학습전이와 학습지속의향의 구조적 관계: KIRD 연구윤리 교육 수강자를 중심으로
- 부모와의 관계에서 겪은 차별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과학교육전공생들의 사범대학 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교사))*의 수용과 저항: Lacan 정신분석학의 상징계 이론을 토대로
- 중국 대학생의 대학 교육서비스질, 학생만족도, 학교신뢰 및 학생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IB MYP 디자인 교과를 접목한 중학교 기술 수업 단원 계획서 작성 과정 연구
- 경력 30년 이상인 GX 여성지도자의 지도전략 사례연구
-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텍스트와 맥락의 개념 검토
- 서이초 사건 이후 교권보호정책의 역동성과 안정성: 수정된 다중흐름모형 중심으로
- 중국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긍정적 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놀이와 유아중심에 대한 유아교사의 메타포 분석
- chat GPT를 활용한 토의에 대한 예비교사 인식 연구: A 대학 교직실무 과목 수강생을 중심으로
- 빅데이터 기반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보육교사의 행복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탈북학생을 가르치는 과학교사의 문화적으로 적합한 과학교수 실천 탐색
- 가정환경 및 인구학적 요인에 따른 11세 아동의 문제행동 예측모델 개발
- 디지털 학습 도구를 이용한 ARCS 동기 활동이 온라인학습 지속의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수업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놀이지원역량 간의 관계 연구: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아동과 권리
- 한국영유아보육학
- 세종
- 아동학회지
- 육아정책연구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입법과 정책
-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아동과 권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한국영유아보육학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 사회과학리뷰
- 어린이미디어연구
- 어린이문학교육연구
- 어린이미디어연구
- 한국보육학회지
- 열린유아교육연구
- 열린유아교육연구
- 한국교원교육연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열린유아교육연구
- 한국영유아보육학
- 한국영유아보육학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유아교육학논집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한국보육학회지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한국교육문제연구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