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격강점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8
- 영문명
- The Effects of Character Strengths on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Lower Grad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하요상(Yo-Sang Ha) 양곤성(Gon Sung Y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3호, 678~692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15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첫째, 초등 저학년 아동의 성격강점 특성을 알아보고, 둘째, 초등 저학년 아동의 성격강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탐색하고 학교생활적응을 예측하는 성격강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서울, 수원, 오산, 고양, 울산, 거제, 진주, 통영시 소재 초등학교 2, 3학년 학생 1292명을 대상으로 성격강점과 학교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하였다. 24개 성격강점의 평균을 구하여 초등 저학년 아동의 대표적 성격강점을 알아보았고, 남, 여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성격강점과 학교생활적응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어떤 성격강점이 학교생활적응을 유의하게 예측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생전체와 남, 여 집단을 나누어 단계선택방법을 활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초등 저학년 아동의 성격강점은 협동심, 공정성, 신중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남, 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t검증 결과 남학생은 용감성, 끈기 강점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여학생은 개방성, 학구열, 사랑 등의 강점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24개 성격강점 모두가 학교생활적응 및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전체 학생을 대상의 회귀분석 결과 사회지능, 감사, 협동심 등의 성격강점이 학교생활적응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다섯째, 남, 여학생을 나누어 회귀분석 한 결과 학교생활적응을 예측하는 성격강점이 성별에 따라 일부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성격강점의 특성과 긍정적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초등 저학년 아동의 24개 성격강점의 분포 및 특성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남, 여별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서 초등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성격강점 연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 저학년 대상 성격강점 관련 개입이나 학교생활적응 증진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 to investigate the character strength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and to explore which character strengths effect school adjustment separately for all students and by gender.
Methods The data were analyzed from 1292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s children in Seoul, Suwon, Osan, Goyang, Ulsan, Geoje, Jinju, and Tongyeong. The average of 24 character strengths was calculated to identify representative character strengths, and t-tes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school adjustment.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tepwise method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entire students and male and female groups to find out which character strengths significantly effect school adjustment.
Results First,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ere high in the following order: teamwork, fairness, and prudence. Second, the t-test results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that males had significantly higher strengths in bravery and perseverance than females, and females had significantly higher strengths in judgement, love of learning, love and so on than males. Third, all 24 character strength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chool adjustment and subfactors. Fourth, as a result of a regression analysis of all students, character strengths such as social intelligence, gratitude, teamwork and so on significantly effect school adjustment. Fifth,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some differences were found in character strengths effecting school adjustment.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positive influence of character strength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24 character strengths of students and their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by males and females can serve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on character strength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ly utilized in developing programs related to character strengths and school adjust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와 비율 개념 지도에 대한 초등수학 교과서 분석: 2015 개정 초등수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국내 고등학교 미술 수업 흥미 증진의 결정요인 분석: AHP 분석을 중심으로
-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와 근로자의 이직의도 간의 관계: 직무숙련도와 조직문화 인식 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초등 신규교사의 교직적응 프로파일 분석 및 영향요인 탐색
- 전공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재학생 인식 분석: 2023년도 k대학을 중심으로
- 중학생 비행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2015∼2024년 4월 게재된 학술지 코로나 전⋅후 비교
- 성격강점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AAC 활용 국내 중재 연구 동향
- 대학생 대상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4MAT 학습유형 및 Holland 진로유형 분석
- 직장인의 일상 스트레스와 자기개방의 관계에서 자기비판적 완벽주의의 조절효과
- CIPP 평가모형에 기반한 의료기관 인증평가 대비 역량 강화 교육에 대한 연구
- 문제중심학습 기반 임상실무중심의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과정, 간호지식, 간호업무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 간호대학생의 학습 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약물 계산 자신감, 약물 계산 불안감의 관계
-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간호술기 평가를 위한 프로토콜 개발: ‘환자확인’, ‘통증관리’, ‘욕창관리 및 낙상예방’과 ‘배액관 관리’
- 분노감정 완화를 위한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 효과의 메타분석
- 진로전담교사 전문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자기냉담의 이중매개효과
- 대학 실용문 쓰기의 교수-학습 내용에 따른 루브릭
- 중학교 자유학기제 미술교육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조형미술과 미술치료의 융합
- 영유아 교사 교권 관련 연구동향 분석: 최근 20년간(2004-2023)간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인식에 대한 분석
- 보건계열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습동기를 매개로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 중등 체육교사의 교사학습공동체 경험과 교사 정체성의 관계에서 교직 헌신, 교육 변화 수용 태도의 매개효과
- 자해 경험이 있는 성인들의 성인애착이 비자살성 자해에 미치는 영향: 부적정서와 자기용서의 순차이중매개효과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23호 목차
-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문화역량과 학습몰입의 순차매개효과
- 기초간호과학 병리학 수업에서 팀 기반 학습의 효과
-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 은유분석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좋은 유아수학교육 인식 분석
-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학업성취도와 임상수행능력의 관련성
- 강의평가 문항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교사 일터영성 척도 구성요인 타당화
- 부모-자녀 간의 ESG 활동 경험에 따른 부모의 ESG 인식 및 필요성과 유아의 환경보전태도, 생태소양 차이 연구
- 여성 노인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참여 경험을 통한 디지털 기기 활용과 인식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 취업모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양육스트레스와 자기자비의 순차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서지능, 직무스트레스, 교수창의성의 구조적 관계분석
- 플립러닝 적용 학습자 중심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초중고 학생의 게임 이용 시간과 학교생활 적응, 학업성취도 간 구조적 관계
- 상담자 발달수준과 동성애 혐오 간의 관계: 자기성찰의 조절효과
-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에서 핵심가치 교육을 위한 학습자 태도 관련 핵심개념어 경향성 분석 연구
- 유아교사 특성에 따른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 및 그 관계
-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전문성발달 수준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상담사의 비판적 의식이 다문화 상담 역량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상담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초임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 및 어려움과 요구
- 유아교사의 4C역량 군집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마인드셋과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의 차이
- 학습동기, 전이설계, 학습전이와 학습지속의향의 구조적 관계: KIRD 연구윤리 교육 수강자를 중심으로
- 부모와의 관계에서 겪은 차별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과학교육전공생들의 사범대학 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교사))*의 수용과 저항: Lacan 정신분석학의 상징계 이론을 토대로
- 중국 대학생의 대학 교육서비스질, 학생만족도, 학교신뢰 및 학생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IB MYP 디자인 교과를 접목한 중학교 기술 수업 단원 계획서 작성 과정 연구
- 경력 30년 이상인 GX 여성지도자의 지도전략 사례연구
-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텍스트와 맥락의 개념 검토
- 서이초 사건 이후 교권보호정책의 역동성과 안정성: 수정된 다중흐름모형 중심으로
- 중국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긍정적 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놀이와 유아중심에 대한 유아교사의 메타포 분석
- chat GPT를 활용한 토의에 대한 예비교사 인식 연구: A 대학 교직실무 과목 수강생을 중심으로
- 빅데이터 기반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보육교사의 행복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탈북학생을 가르치는 과학교사의 문화적으로 적합한 과학교수 실천 탐색
- 가정환경 및 인구학적 요인에 따른 11세 아동의 문제행동 예측모델 개발
- 디지털 학습 도구를 이용한 ARCS 동기 활동이 온라인학습 지속의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수업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놀이지원역량 간의 관계 연구: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 육아지원연구
- 초등상담연구
- 초등교 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임상사회사업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 학생생활연구
-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 초등상담연구
- 학교사회복지
- 아동교육
- 상담학연구
- 교육과학연구
- 한국청소년연구
-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초등교육연구
- 교육치료연구
- 한국초등교육
-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 Developmental Psychology
- Behavioral Sciences & the Law
- Psychological Bulletin
-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 Reclaiming Children and Youth
- Journal of College and Character
-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 Applied Development Science
-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An Interdis- ciplinary Forum on Subjective Well-Being
- Child Indicators Research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