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격강점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8

영문명
The Effects of Character Strengths on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Lower Grad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하요상(Yo-Sang Ha) 양곤성(Gon Sung Y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3호, 678~692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첫째, 초등 저학년 아동의 성격강점 특성을 알아보고, 둘째, 초등 저학년 아동의 성격강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탐색하고 학교생활적응을 예측하는 성격강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서울, 수원, 오산, 고양, 울산, 거제, 진주, 통영시 소재 초등학교 2, 3학년 학생 1292명을 대상으로 성격강점과 학교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하였다. 24개 성격강점의 평균을 구하여 초등 저학년 아동의 대표적 성격강점을 알아보았고, 남, 여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성격강점과 학교생활적응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어떤 성격강점이 학교생활적응을 유의하게 예측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생전체와 남, 여 집단을 나누어 단계선택방법을 활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초등 저학년 아동의 성격강점은 협동심, 공정성, 신중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남, 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t검증 결과 남학생은 용감성, 끈기 강점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여학생은 개방성, 학구열, 사랑 등의 강점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24개 성격강점 모두가 학교생활적응 및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전체 학생을 대상의 회귀분석 결과 사회지능, 감사, 협동심 등의 성격강점이 학교생활적응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다섯째, 남, 여학생을 나누어 회귀분석 한 결과 학교생활적응을 예측하는 성격강점이 성별에 따라 일부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성격강점의 특성과 긍정적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초등 저학년 아동의 24개 성격강점의 분포 및 특성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남, 여별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서 초등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성격강점 연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 저학년 대상 성격강점 관련 개입이나 학교생활적응 증진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 to investigate the character strength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and to explore which character strengths effect school adjustment separately for all students and by gender. Methods The data were analyzed from 1292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s children in Seoul, Suwon, Osan, Goyang, Ulsan, Geoje, Jinju, and Tongyeong. The average of 24 character strengths was calculated to identify representative character strengths, and t-tes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school adjustment.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tepwise method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entire students and male and female groups to find out which character strengths significantly effect school adjustment. Results First, the character strengths of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ere high in the following order: teamwork, fairness, and prudence. Second, the t-test results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that males had significantly higher strengths in bravery and perseverance than females, and females had significantly higher strengths in judgement, love of learning, love and so on than males. Third, all 24 character strength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chool adjustment and subfactors. Fourth, as a result of a regression analysis of all students, character strengths such as social intelligence, gratitude, teamwork and so on significantly effect school adjustment. Fifth,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some differences were found in character strengths effecting school adjustment.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positive influence of character strength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24 character strengths of students and their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by males and females can serve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on character strength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ly utilized in developing programs related to character strengths and school adjust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요상(Yo-Sang Ha),양곤성(Gon Sung Yang). (2024).성격강점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3), 678-692

MLA

하요상(Yo-Sang Ha),양곤성(Gon Sung Yang). "성격강점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3(2024): 678-6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