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이용수 25

영문명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Adjustment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권미영(Mi young Kwon) 최보영(Bo Young Cho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3호, 366~376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15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학교생활적응, 사회적 지지 척도로 구성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400명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Window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적응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더 높이기 위해서 주변 친구나 교사, 가정에서의 적극적인 지지를 지원한다면,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we sought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adjustment. Method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high school students nationwide, consisting of measures of self-efficacy, school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of a total of 400 patient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Window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adjustment effect was verifi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school life adjustment, an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 life adjustment was also found. Second, social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adjustment. Conclusions This suggests that self-efficacy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a high school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if support is provided to protect them from friends, romantic partners, or family members who prefer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미영(Mi young Kwon),최보영(Bo Young Choi). (2024).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3), 366-376

MLA

권미영(Mi young Kwon),최보영(Bo Young Choi).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3(2024): 366-3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