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 노인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참여 경험을 통한 디지털 기기 활용과 인식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이용수 197

영문명
A Case Study on the Use of Digital Devices and Ghanges in Awareness through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Digital literacy Education among Elderly Wome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신민주(Min -Ju Shi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3호, 75~8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여성 노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참여경험이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과 어떤 인식의 변화를 경험하게 하는지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방법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2023년 9월 8일과 9월 14일 각각 60분씩 2회기에 걸쳐 4명의 여성 노인들을 대상으로 카드 뉴스 만들기. 드론 날리기, 코딩교육을 실시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참여 경험의 인식에 대한 변화의 의미를 도출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관찰자의 시선으로 탐색한 교육 현장의 장면을 관찰하고, 교육 종료 후 이번 교육 참여 경험에 관해 약 30분가량 2회기에 걸쳐 개별인터뷰 자료의 분석과 추가 질문 자료들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이후 분석한 자료들을 전문가 검토와 연구 참여자들의 검토를 거쳐 연구의 타당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결과 여성 노인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참여 경험은 여성 노인들의 미디어 기기에 대한 두려움을 조금씩 감소시켜 주었고 미디어 기기를 사용해 본 교육 경험은 이들에게 자신감 향상을 하게 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참여 경험을 통한 디지털 기기 활용과 인식 변화에 대한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동의 변화’로는 새로운 것에 도전하려는 의지를 갖게 하였고 둘째, ‘심리적 변화’로는 ‘깨달음을 통한 감사함과 배움에 대한 소중함’이라는 의미가 도출되었으며 셋째, ‘인식의 변화’로는 ‘새로운 경험을 통한 자기 발견과 자신감 향상’이라는 의미를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등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정보통신 기술이나 비대면 교육이 확대되고 있는 현상은 젊은층에게는 편리함과 이로움을 가져다주지만 반대로 디지털 기기 사용에 자유롭지 못한 노인들에게는 고립감과 상실감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향후 초고령화 사회에서 다양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참여 경험을 통해 여성 노인들이 디지털 기기 사용에 대한 두려움을 줄여 활기찬 노년기를 보낼 수 있도록 다양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가 여성 노인 관련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기초적인 자료로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hether participation in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elderly women leads to changes in their digital device utilization skills and perceptions. Methods For this study, card news creation, drone flying, and coding education were conducted on four elderly women over two 60-minute sessions on September 8 and September 14, 2023. In order to derive the meaning of the change in awareness of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e participants observed the scenes of the educational site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an observer, and after the education, the data of individual interviews and additional questions about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is education were analyzed qualitatively over two sessions of about 30 minutes each. Afterwards, the analyzed data were reviewed by experts and the participants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study. Results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elderly women gradually reduced their fear of media devices, and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using media devices improved their self-confidence. The meaning of the change in digital device use and awareness through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digital literacy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as a ‘change in behavior,’ it created the will to challenge new things, second, as a ‘psychological change,’ it derived the meaning of ‘gratitude through enlightenment and the value of learning,’ and third, as a ‘change in awareness,’ it derived the meaning of ‘self-discovery and improved self-confidence through new experiences.’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the expans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non- face-to-face education using digital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computers brings convenience and benefits to the younger generation, but on the other hand, it can cause a sense of isolation and loss in the elderly who are not free to use digital devices. In conclusion, in the future super-aging society, various digital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so that elderly women can reduce their fear of using digital devices through participation experiences in various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enjoy an active old ag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related to elderly wome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민주(Min -Ju Shin). (2024).여성 노인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참여 경험을 통한 디지털 기기 활용과 인식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3), 75-89

MLA

신민주(Min -Ju Shin). "여성 노인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참여 경험을 통한 디지털 기기 활용과 인식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3(2024): 75-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