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교 자유학기제 미술교육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조형미술과 미술치료의 융합
이용수 155
- 영문명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Free Semester Art Education of Junior High School: The Convergence of Formative Art and Art Therap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희(Hyun-Hee Kim) 김갑숙(Gap-Sook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3호, 940~959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15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미술교육에 참여한 학생들이 조형미술과 미술치료를 융합한 교육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며,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B 지역 자유학기제 미술교육에 참여한 A 중학교 1학년 65명 중 자발적으로 참여한 10명이다. 미술교육은 조형미술과 미술치료를 융합하여 2022년 3월에서 5월까지 매주 1회 90분 블록타임제 수업으로 9회기를 실시하여 질적 사례연구 방법에 근거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미술치료가 융합된 미술교육에 의해 6개의 상위주제와 17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주요 범주를 중심으로 결과를 살펴보면 자신의 심리를 알게 되면서 새로운 나를 발견하고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며 성취감을 얻었다. 생각의 범위가 넓어져 위기대처 능력이 향상되고 올바른 자기표현으로 타인과 소통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편안한 환경에서 내재된 감정의 자유로운 표현으로 자신감이 상승되고 스트레스가 해소되었다. 다름에 대한 새로운 시각으로 객관화된 자신을 수용하고 타인을 이해하게 되었다.
결론 첫째, 참여자는 과정 중심의 미술치료교육은 정형화된 틀에서 벗어나 자아탐색의 기회가 되었다. 둘째, 다양한 체험을 통하여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며 사고의 폭이 확장되었다. 셋째, 일상에서 표출되지 못했던 감정을 조형적으로 창작하며 스트레스나 억눌린 감정을 적극적인 에너지로 전환시켜 심리적 안정감을 가지게 되었다. 넷째, 자신의 수용과 타인을 이해하면서 긍정적 자아상을 확립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w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ree semester art education in middle school experience in the curriculum that combines formative art and art therapy, and what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is.
Methods The method study participants were 10 voluntarily participating out of 65 first graders of middle school A who participated in the free semester system art education in region B. Art education was conducted once a week from March to May 2022, 90 minutes of block time class, an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Results As a result, 6 upper themes and 17 lower themes were derived through art education in which art therapy was fused. Looking at the results centering on the main categories, as you learned your psychology, you gained a sense of accomplishment by discovering a new self and acquiring new knowledge. As the range of thoughts expanded, the ability to cope with crises improved, an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was confirmed through correct self-expression. Confidence was raised and stress was relieved by the free expression of emotions inherent in a comfortable environment. With a new perspective on differences, I have come to accept myself objectified and understand others.
Conclusions First, participants became opportunities for self-exploration beyond the standardized framework of process-oriented art therapy education. Second, the breadth of thinking expanded by acquiring new knowledge through various experiences. Third, by formatively creating emotions that were not expressed in everyday life and converting stressed or suppressed emotions into active energy, they gained a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Fourth, they established a positive self-image by understanding their own acceptance and other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와 비율 개념 지도에 대한 초등수학 교과서 분석: 2015 개정 초등수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국내 고등학교 미술 수업 흥미 증진의 결정요인 분석: AHP 분석을 중심으로
-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와 근로자의 이직의도 간의 관계: 직무숙련도와 조직문화 인식 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초등 신규교사의 교직적응 프로파일 분석 및 영향요인 탐색
- 전공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재학생 인식 분석: 2023년도 k대학을 중심으로
- 중학생 비행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2015∼2024년 4월 게재된 학술지 코로나 전⋅후 비교
- 성격강점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AAC 활용 국내 중재 연구 동향
- 대학생 대상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4MAT 학습유형 및 Holland 진로유형 분석
- 직장인의 일상 스트레스와 자기개방의 관계에서 자기비판적 완벽주의의 조절효과
- CIPP 평가모형에 기반한 의료기관 인증평가 대비 역량 강화 교육에 대한 연구
- 문제중심학습 기반 임상실무중심의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과정, 간호지식, 간호업무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 간호대학생의 학습 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약물 계산 자신감, 약물 계산 불안감의 관계
-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간호술기 평가를 위한 프로토콜 개발: ‘환자확인’, ‘통증관리’, ‘욕창관리 및 낙상예방’과 ‘배액관 관리’
- 분노감정 완화를 위한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 효과의 메타분석
- 진로전담교사 전문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자기냉담의 이중매개효과
- 대학 실용문 쓰기의 교수-학습 내용에 따른 루브릭
- 중학교 자유학기제 미술교육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조형미술과 미술치료의 융합
- 영유아 교사 교권 관련 연구동향 분석: 최근 20년간(2004-2023)간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인식에 대한 분석
- 보건계열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습동기를 매개로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 중등 체육교사의 교사학습공동체 경험과 교사 정체성의 관계에서 교직 헌신, 교육 변화 수용 태도의 매개효과
- 자해 경험이 있는 성인들의 성인애착이 비자살성 자해에 미치는 영향: 부적정서와 자기용서의 순차이중매개효과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23호 목차
-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문화역량과 학습몰입의 순차매개효과
- 기초간호과학 병리학 수업에서 팀 기반 학습의 효과
-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 은유분석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좋은 유아수학교육 인식 분석
-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학업성취도와 임상수행능력의 관련성
- 강의평가 문항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교사 일터영성 척도 구성요인 타당화
- 부모-자녀 간의 ESG 활동 경험에 따른 부모의 ESG 인식 및 필요성과 유아의 환경보전태도, 생태소양 차이 연구
- 여성 노인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참여 경험을 통한 디지털 기기 활용과 인식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 취업모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양육스트레스와 자기자비의 순차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서지능, 직무스트레스, 교수창의성의 구조적 관계분석
- 플립러닝 적용 학습자 중심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초중고 학생의 게임 이용 시간과 학교생활 적응, 학업성취도 간 구조적 관계
- 상담자 발달수준과 동성애 혐오 간의 관계: 자기성찰의 조절효과
-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에서 핵심가치 교육을 위한 학습자 태도 관련 핵심개념어 경향성 분석 연구
- 유아교사 특성에 따른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 및 그 관계
-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전문성발달 수준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상담사의 비판적 의식이 다문화 상담 역량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상담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초임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 및 어려움과 요구
- 유아교사의 4C역량 군집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마인드셋과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의 차이
- 학습동기, 전이설계, 학습전이와 학습지속의향의 구조적 관계: KIRD 연구윤리 교육 수강자를 중심으로
- 부모와의 관계에서 겪은 차별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과학교육전공생들의 사범대학 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교사))*의 수용과 저항: Lacan 정신분석학의 상징계 이론을 토대로
- 중국 대학생의 대학 교육서비스질, 학생만족도, 학교신뢰 및 학생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IB MYP 디자인 교과를 접목한 중학교 기술 수업 단원 계획서 작성 과정 연구
- 경력 30년 이상인 GX 여성지도자의 지도전략 사례연구
-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텍스트와 맥락의 개념 검토
- 서이초 사건 이후 교권보호정책의 역동성과 안정성: 수정된 다중흐름모형 중심으로
- 중국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긍정적 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놀이와 유아중심에 대한 유아교사의 메타포 분석
- chat GPT를 활용한 토의에 대한 예비교사 인식 연구: A 대학 교직실무 과목 수강생을 중심으로
- 빅데이터 기반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보육교사의 행복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탈북학생을 가르치는 과학교사의 문화적으로 적합한 과학교수 실천 탐색
- 가정환경 및 인구학적 요인에 따른 11세 아동의 문제행동 예측모델 개발
- 디지털 학습 도구를 이용한 ARCS 동기 활동이 온라인학습 지속의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수업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놀이지원역량 간의 관계 연구: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예술치료학회 지
-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서울
- 세미오시스 연구센터, 한국 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예술심리치료연구
- 한국예술치료학회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도서출판 박이정
-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문화예술교육연구
- 서울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술교육논총
-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Child Development
- 정종진, 김영숙, 성용구 역 (2017). 연구방법: 질적⋅양적 및 혼합적 연구의 설계
-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2021).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4판)
- Art Therapy
- 이병식, 박상욱, 김사훈 역 (2011). 근거이론의 발견
- 정성훈, 정운선 역 (2018). 마음을 다친 아동⋅청소년을 위한 핸드북
-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 The Counseling Psychologist
- 최기홍, 이은별, 송하림 역 (2020). 청소년을 위한 행동활성화
- Art Therapy
- 정은혜 역 (2010). 스튜디오 미술치료
- 박지연, 이숙향, 김남희 역 (2013). 질적 연구 시작부터 완성까지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