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 특성에 따른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 및 그 관계
이용수 91
- 영문명
-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and Digital Play Implementation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by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Rel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나운(Na Woon Park) 장상옥(Sang Ock J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3호, 177~19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15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특성에 따른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을 알아보고 이들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 대상은 서울, 인천, 세종, 대구, 경남 지역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2023년 1월 말부터 3월 초까지 설문지 조사를 하여 378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일원분산분석, 단순회귀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은 보통보다 높은 정도로 나타났고, 교사의 연령, 경력, 기관의 유형, 디지털 놀이의 횟수, 디지털 관련 연수 횟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은 보통보다 높은 정도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연령, 경력, 기관의 유형, 디지털 놀이 횟수, 디지털 관련 연수 횟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역량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은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수준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교사 연수나 교육 등이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according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s of teachers'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on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play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Methods For data collection, 378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Incheon, Sejong, Daegu, and Gyeongnam,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s about teachers’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play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from 27 January 2023 to 7 March.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by SPSS 27.0.
Result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was higher than in the middle,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teachers’ age, career, institutional type, number of digital play, and number of digital related trai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implementation of digital play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as higher than in the middle,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teachers’ age, career, institutional type, number of digital play, and number of digital related training.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play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play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Conclusions In order to promote early childhood teachers' implementation of digital play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the level of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and teacher training and education should be supported for thi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와 비율 개념 지도에 대한 초등수학 교과서 분석: 2015 개정 초등수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국내 고등학교 미술 수업 흥미 증진의 결정요인 분석: AHP 분석을 중심으로
-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와 근로자의 이직의도 간의 관계: 직무숙련도와 조직문화 인식 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초등 신규교사의 교직적응 프로파일 분석 및 영향요인 탐색
- 전공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재학생 인식 분석: 2023년도 k대학을 중심으로
- 중학생 비행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2015∼2024년 4월 게재된 학술지 코로나 전⋅후 비교
- 성격강점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AAC 활용 국내 중재 연구 동향
- 대학생 대상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4MAT 학습유형 및 Holland 진로유형 분석
- 직장인의 일상 스트레스와 자기개방의 관계에서 자기비판적 완벽주의의 조절효과
- CIPP 평가모형에 기반한 의료기관 인증평가 대비 역량 강화 교육에 대한 연구
- 문제중심학습 기반 임상실무중심의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과정, 간호지식, 간호업무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 간호대학생의 학습 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약물 계산 자신감, 약물 계산 불안감의 관계
-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간호술기 평가를 위한 프로토콜 개발: ‘환자확인’, ‘통증관리’, ‘욕창관리 및 낙상예방’과 ‘배액관 관리’
- 분노감정 완화를 위한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 효과의 메타분석
- 진로전담교사 전문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자기냉담의 이중매개효과
- 대학 실용문 쓰기의 교수-학습 내용에 따른 루브릭
- 중학교 자유학기제 미술교육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조형미술과 미술치료의 융합
- 영유아 교사 교권 관련 연구동향 분석: 최근 20년간(2004-2023)간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인식에 대한 분석
- 보건계열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습동기를 매개로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 중등 체육교사의 교사학습공동체 경험과 교사 정체성의 관계에서 교직 헌신, 교육 변화 수용 태도의 매개효과
- 자해 경험이 있는 성인들의 성인애착이 비자살성 자해에 미치는 영향: 부적정서와 자기용서의 순차이중매개효과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23호 목차
-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문화역량과 학습몰입의 순차매개효과
- 기초간호과학 병리학 수업에서 팀 기반 학습의 효과
-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 은유분석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좋은 유아수학교육 인식 분석
-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학업성취도와 임상수행능력의 관련성
- 강의평가 문항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교사 일터영성 척도 구성요인 타당화
- 부모-자녀 간의 ESG 활동 경험에 따른 부모의 ESG 인식 및 필요성과 유아의 환경보전태도, 생태소양 차이 연구
- 여성 노인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참여 경험을 통한 디지털 기기 활용과 인식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 취업모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양육스트레스와 자기자비의 순차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서지능, 직무스트레스, 교수창의성의 구조적 관계분석
- 플립러닝 적용 학습자 중심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초중고 학생의 게임 이용 시간과 학교생활 적응, 학업성취도 간 구조적 관계
- 상담자 발달수준과 동성애 혐오 간의 관계: 자기성찰의 조절효과
-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에서 핵심가치 교육을 위한 학습자 태도 관련 핵심개념어 경향성 분석 연구
- 유아교사 특성에 따른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 및 그 관계
-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전문성발달 수준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상담사의 비판적 의식이 다문화 상담 역량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상담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초임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 및 어려움과 요구
- 유아교사의 4C역량 군집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마인드셋과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의 차이
- 학습동기, 전이설계, 학습전이와 학습지속의향의 구조적 관계: KIRD 연구윤리 교육 수강자를 중심으로
- 부모와의 관계에서 겪은 차별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과학교육전공생들의 사범대학 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교사))*의 수용과 저항: Lacan 정신분석학의 상징계 이론을 토대로
- 중국 대학생의 대학 교육서비스질, 학생만족도, 학교신뢰 및 학생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IB MYP 디자인 교과를 접목한 중학교 기술 수업 단원 계획서 작성 과정 연구
- 경력 30년 이상인 GX 여성지도자의 지도전략 사례연구
-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텍스트와 맥락의 개념 검토
- 서이초 사건 이후 교권보호정책의 역동성과 안정성: 수정된 다중흐름모형 중심으로
- 중국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긍정적 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놀이와 유아중심에 대한 유아교사의 메타포 분석
- chat GPT를 활용한 토의에 대한 예비교사 인식 연구: A 대학 교직실무 과목 수강생을 중심으로
- 빅데이터 기반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보육교사의 행복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탈북학생을 가르치는 과학교사의 문화적으로 적합한 과학교수 실천 탐색
- 가정환경 및 인구학적 요인에 따른 11세 아동의 문제행동 예측모델 개발
- 디지털 학습 도구를 이용한 ARCS 동기 활동이 온라인학습 지속의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수업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놀이지원역량 간의 관계 연구: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교육부
- 교육부
- 교육부, 보건복지부
- 어린이미디어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열린부모교육 연구
- 미래 유아교육학회지
- 교육과학융합연구
-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창의정보문화연구
- 유아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어린이 미디어연구
-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어린이미디어연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아동교육
- 어린이미디어연구
- 교원교육
- 열린유아교육연구
-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유아교육연구
- 열린유아교육연구
-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 디딤돌시리즈
- 유아교육학논집
- 안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고양: 공동체
- 디지털융복합연구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아교육학논집
-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 육아지원연구
- 교육논총
- 육아지원연구
- 열린유아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열린유아교육연구
-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 Mind, Culture, and Activity
- Starting Strong, OECD Publishing
- 디지털 시대 유아의 놀이와 학습: 문화비평 관점
- Early Childhood Folio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