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 특성에 따른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 및 그 관계

이용수 91

영문명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and Digital Play Implementation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by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Rel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나운(Na Woon Park) 장상옥(Sang Ock J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3호, 177~19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15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특성에 따른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을 알아보고 이들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 대상은 서울, 인천, 세종, 대구, 경남 지역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2023년 1월 말부터 3월 초까지 설문지 조사를 하여 378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일원분산분석, 단순회귀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은 보통보다 높은 정도로 나타났고, 교사의 연령, 경력, 기관의 유형, 디지털 놀이의 횟수, 디지털 관련 연수 횟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은 보통보다 높은 정도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연령, 경력, 기관의 유형, 디지털 놀이 횟수, 디지털 관련 연수 횟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역량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은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수준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교사 연수나 교육 등이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according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s of teachers'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on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play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Methods For data collection, 378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Incheon, Sejong, Daegu, and Gyeongnam,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s about teachers’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play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from 27 January 2023 to 7 March.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by SPSS 27.0. Result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was higher than in the middle,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teachers’ age, career, institutional type, number of digital play, and number of digital related trai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implementation of digital play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as higher than in the middle,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teachers’ age, career, institutional type, number of digital play, and number of digital related training.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play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play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Conclusions In order to promote early childhood teachers' implementation of digital play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the level of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and teacher training and education should be supported for thi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나운(Na Woon Park),장상옥(Sang Ock Jang). (2024).유아교사 특성에 따른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 및 그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3), 177-197

MLA

박나운(Na Woon Park),장상옥(Sang Ock Jang). "유아교사 특성에 따른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디지털 놀이 실행 및 그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3(2024): 177-1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