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폭력피해학생을 위한 심리지원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269

영문명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 of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for School Vioence Victim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임경진(Kyoung Jin Lim) 여미정(Mi Jeong Ye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6호, 433~44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학교폭력피해학생을 위한 심리지원 프로그램 연구의 흐름과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심리지원 프로그램에 대해 2010년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학위논문과 학술지 게재 논문 29편을 대상으로 연구의 기본정보,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을 살펴보았다. 방법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누리미디어(DBpia), 국회전자도서관(NANET)을 활용하여, ‘학교폭력, 따돌림, 집단괴롭힘, 심리, 정서, 프로그램’을 키워드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석·박사 학위논문 24편, 학술지게재 논문 5편 총 29편의 연구자료를 대상으로 기본정보,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 중재프로그램,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자료는 2010년부터 2023년 12월까지 총 29편, 학술지 논문은 5편, 학위논문은 24편이었다. 2010~2014년 14편(48.3%), 2015~2019년 12편(41.4%), 2020~2023년 3편(10.3%)으로 2010~2014년까지의 논문의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는 14세~16세가 13편(44.8%)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설계는 실험·통제집단의 사전·사후의 데이터를 비교 분석한 연구설계 17편(58.6%)으로 가장 많이 진행되었고, 가장 많이 사용된 중재기법은 미술치료(24.1%)로 나타났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학교폭력피해학생을 위한 심리지원 프로그램은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학교폭력피해학생의 피해회복을 위한 심리지원프로그램의 향상을 위해 연구 결과 분석 기준이 보다 명확하게 설계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low and trend of research on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for school violence victims in Korea. To this end, the related literature on the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 examined the basic information,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contents of 29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in Korea and journals from 2010 to 2023. Methods Using databases of RISS, DBpia, and NANET, data were collected under the keywords ‘school violence, bullying, psychology, emotion, program, research Trend’. The basic information,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research content, intervention program, and research results were analyzed for the 29 research materials that were finally selected, including 24 master’s and doctoral theses and 5 academic journal articles. Results As a result, the total data began to be published in 2010, and until December 2023, there were a total of 29 academic papers, 5 academic journal papers, and 24 degree papers. 14 articles(48.3%) from 2010 to 2014, 12 articles(41.4%) from 2015 to 2019, and 3 articles(10.3%) from 2020 to 2023 showed the largest number of papers from 2010 to 2014. As for the study participants, 13 articles(44.8%) were aged 14 to 16 years old. Research design was conducted the most with 17 pieces (58.6%) of research design that compared and analyzed the pre and post data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 most used intervention technique was art therapy(24.1%).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for school violence victim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and the criteria for analysis of research results need to be designed more clearly to improve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to recover from damage to school violence victim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경진(Kyoung Jin Lim),여미정(Mi Jeong Yeo). (2024).학교폭력피해학생을 위한 심리지원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6), 433-449

MLA

임경진(Kyoung Jin Lim),여미정(Mi Jeong Yeo). "학교폭력피해학생을 위한 심리지원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6(2024): 433-4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