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Philosophical Basis of Education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Focusing on Dilthey's Hermeneutics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홍윤택 이병승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8권 제1호, 27~5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딜타이의 해석학에서 무엇보다 비중 있게 다루어진 이해의 개념이 가지는 독특한 의미에 비추어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정신과학의 영역에서 파악될 수 있는 인간의 삶은 논리적으로 기술되거나 설명될 수 없으며 체험을 통해서 이해될 수 있다. 다문화 이해 교육은 개별적인 삶의 표현에 대한 추체험을 통해 인류의 정신적 구조연관으로서 총체적 문화를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둘째, 삶을 표현하는 최고의 실재적 범주는 누구에게는 동일하게 적용되는 시간성이며, 정신과학에서 다루어지는 모든 지식은 결국 바로 이 시간성의 범주 안에 존재한다. 다문화 이해 교육은 개별 민족의 다양하고 특수한 역사를 이해함으로써 그들의 삶 그 자체를 존중함과 동시에,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시간적 구조연관으로서의 역사를 구성하는 보편적 인간성에 관한 이해를 추구한다.
셋째, 문화는 다양한 삶의 주관적이고 특수한 표현이나, 그것의 근간에는 인류가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보편적인 정신의 토대로서 객관정신이 존재한다. 다문화 이해 교육은 다양한 민족의 특수한 삶의 표현을 체험함으로써 그러한 삶의 근간에 자리하고 있는 객관정신을 이해하고, 나아가 사회의 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개인의 인식의 전환을 이루어낼 수 있다.
넷째, 개인은 삶의 순환론적인 과정 속에서 다양한 삶의 표현을 체험하면서 타자의 삶을 이해하고 해석해 나아간다. 다문화 이해 교육은 개별적이고 특수한 삶의 가치에 대한 이해를 통해 보편적 가치에 근거하는 다양한 문화적인 표현들을 끊임없이 재해석해 나아감으로써, 다문화주의의 본령을 지향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dentified four philosophical bases in Dilthey’s hermeneutics to justify education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ife cannot be described or explained logically but can be understood by experience in human sciences. Education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re-experience the representations of life to understand every culture of mental nexus. Second, temporality is real category of expressing life, and every knowledge within human sciences is covered in this real category. Third, there is objective-spirit as a universal foundation in every cultur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chieves a transformation of individual perceptions that can contribute to the integration of society by understanding the objective spirit. Lastly, every person experiences the representation of life to better understand other lives. Education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is constantly re-interpreting various cultural expressions based on universal values, so it can achieve the essence of multiculturalism.
목차
I. 서언
II. 딜타이 해석학에 있어서 이해의 중요성과 다문화 이해 교육
III. 결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이주배경 학생을 위한 IBDP의 가능성과 한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공립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집단 간 대화를 통한 다양성 수용도와 다문화 역량 증진: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
- 사회적 네트워크 관점에 기반한 학교 다문화교육과정 개발 모습에 대한 이해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영미문학읽기’를 통한 다문화교육 연구: 『진과 대니』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