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주배경 학생을 위한 IBDP의 가능성과 한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공립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IBDP for Students with Migrant Backgrounds: Focusing on the Case of Seattle Public Schools in Washington State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현희 홍원표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8권 제1호, 155~18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이주배경 학생이 밀집한 공립학교의 IBDP 운영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국내 이주배경 학생들의 학력 신장 및 대학 진학률 향상을 위한 IBDP의 가능성과 한계를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공립학교를 사례로 선정하여 관련 문서와 심층 면담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언어적, 문화적, 사회경제적 소외계층 학생의 학업과 대학 진학률 향상에 중점을 둔 IBDP 운영에서는 교육과정과 수업, 평가, 교사 전문성 개발에 걸쳐 다문화주의에 기반을 둔 자원교육학(resource pedagogy)이 폭넓게 활용되고 있었다. 둘째, 소외계층 학생들의 학업 및 대학 진학을 위한 지역 수준의 정책적, 제도적 지원이 단위 학교의 IBDP 운영에 적극 활용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정책적, 제도적 지원과 활용은 소외계층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대학 진학률 향상을 견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이주배경 학생들의 학업 및 대학 진학을 위한 IBDP의 가능성과 한계 및 실천적, 제도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IBDP for improving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college access of students with migrant backgrounds in South Korea by explo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IBDP in a public school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marginalized students. Methodologically, this study use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an IB public school in Seattle, Washington, where data from relevant docume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findings reveal that (1) resource pedagogy based on multiculturalism was widely use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IBDP (i.e., curriculum, instruction, assessment,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 a focus on improving school-wide academic achievement and college access rates; and (2) local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orts were actively use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IBDP,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college access rates of disadvantaged students throughout the school. The discussion highlights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IBDPs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Practical and institutional implications are also provided.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이주배경 학생을 위한 IBDP의 가능성과 한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공립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집단 간 대화를 통한 다양성 수용도와 다문화 역량 증진: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
- 사회적 네트워크 관점에 기반한 학교 다문화교육과정 개발 모습에 대한 이해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영미문학읽기’를 통한 다문화교육 연구: 『진과 대니』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