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econdary Teachers’ Experiences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최성아 하정희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연구』제18권 제1호, 53~8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장 중등 교사들이 경험한 다문화 교육의 내용과 구조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다문화 교육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 교육 경험이 있는 중등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Merriam & Tisdell이 제안한 현상학(Phenomenology)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총 277개의 의미 단위와 12개의 하위범주, 4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다문화 학생들의 차별 경험에 대한 염려’는 학생에 대한 염려에, ‘단절감의 경험’, ‘정체성 은폐에 대한 안타까움’, ‘도움 노력의 좌절’은 다문화 학생과의 거리감에, ‘문화 공유’, ‘강점 발견’, ‘편견 자각’, ‘공감과 이해’, ‘유연함의 증가’는 다문화적 관점의 전환과 이해에, ‘교육과정 재구성’, ‘교수·학습 방법 다양화’, ‘인성 중심 생활지도’는 교육적 노력에 해당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의 구조는 ‘차별 경험’, ‘다문화 학생과의 거리감’, ‘다문화적 관점의 전환과 이해’, ‘교육적 노력’이었으며, 그 본질은 ‘교사와 학생이 만나 서로를 알아가며 이해하고, 성찰하는 교학상장(敎學相長)의 과정’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 및 중등 교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their essential meaning. To this end, the autho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practic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ollected field dat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277 meaning units, 12 subcategories, and 4 categories were derived. The concerns for students included ‘concerns about the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mong multicultural students’. The sense of distance from multicultural students included ‘experiencing a sense of disconnection’, ‘sadness about concealing identity’, and ‘frustration with efforts to help’. The transformation an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perspectives included ‘sharing culture’, ‘discovery of strengths’, ‘self-awareness of prejudice’, ‘sympathy and understanding’, and ‘increased flexibility’. Educational efforts included ‘reorganization of curriculum’, ‘diversif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ersonality-centered life guid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were presented for follow-up studies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성아,하정희. (2025).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18 (1), 53-86

MLA

최성아,하정희.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18.1(2025): 53-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