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집단 간 대화를 통한 다양성 수용도와 다문화 역량 증진: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Enhancing Openness to Diversity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through Intergroup Dialogue: The Moderating Role of Rejection Sensitivity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정지선 이항심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8권 제1호, 111~13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집단 간 대화(Intergroup Dialogue: IGD) 프로그램이 대학생과 대학원생의 다양성 수용도와 다문화 역량을 증진시키는지 검증하고, 이러한 효과가 거부민감성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서울 소재 한 사립대학교의 학부와 대학원 수업에서 IGD 프로그램을 총 62명이 참여하였으며, 이 중 사전·사후 검사에 모두 응답한 30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IGD 참여 후 참여자들의 다양성 수용도와 다문화 역량(문화적 개방성, 문화적 자기효능감, 문화적 지식, 문화적 공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거부민감성이 낮을수록 다양성 수용도의 증가 폭이 크게 나타나, 거부민감성이 IGD 효과를 조절함이 확인되었다. 반면 다문화 역량에서는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IGD가 다양한 배경과 정체성을 지닌 학습자들의 문화적 역량을 전반적으로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하며, 특히 거부민감성이 높은 학습자를 위한 보완적 지원 또는 사전준비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n Intergroup Dialogue (IGD) can enhanc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openness to diversity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and whether these effects vary according to the level of rejection sensitivity. A total of 62 students from undergraduate and graduate courses at a private university in Seoul participated, and data from 30 students who completed both pre- and post-test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openness to diversity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cultural openness, cultural self-efficacy, cultural knowledge, and cultural empathy)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IGD participation. Furthermore, rejection sensitivity moderated changes in openness to diversity, with lower rejection sensitivity leading to greater increases. However, no moder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was observed for multicultural compet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GD is an effective method for enhancing the cultural competence of learners with diverse backgrounds and identities, while also indicating the need for additional support or preparation for learners with high rejection sensitivity.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이주배경 학생을 위한 IBDP의 가능성과 한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공립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집단 간 대화를 통한 다양성 수용도와 다문화 역량 증진: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
- 사회적 네트워크 관점에 기반한 학교 다문화교육과정 개발 모습에 대한 이해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영미문학읽기’를 통한 다문화교육 연구: 『진과 대니』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