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년 미혼 여성의 원가족 특성과 부모부양의식

이용수 45

영문명
Unmarried Young Adult Women’s Perceptions of Filial Responsibility for Aging Parents and Related Factors: With Focus on their Family of Origi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소영(Soyoung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6호, 223~23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청년 미혼 여성의 부모부양의식과 관련이 있는 요인을 이들의 원가족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그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여성가족패널 8차 데이터에서 19세에서 39세 사이의 미혼 여성 1,405명의 자료를 추출하여 이들이 속한 원가족의 구조적 특성과 관계적 특성, 성역할 태도가 부모부양의식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분석 결과 자신이 맏딸인지 혹은 부모의 부양을 담당할 남자 형제가 있는 등 원가족 내에서 미혼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부양책임과 관련된 지위는 부모부양의식과 무관하였으며, 현재 부모와의 공유 활동 유무 또한 관련이 없었다. 성장 과정에서 부모가 딸을 엄격하게 대하지 않았을 때에 부모부양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보였으며, 미혼 여성 개인의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가 부모부양의식과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결론 청년 미혼 여성의 부모부양의식에 있어 전통적으로 부모부양의 책임이 지워지던 가족 내 지위의 규범적 영향력은 사라졌으며, 청년 미혼 여성은 성장기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전통적인 성역할 가치관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다가올 초고령화 사회에서 국가와 가족이 함께 하는 노인돌봄에 청년 미혼 여성들이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과 정책적 지원을 위한 지점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related to the filial responsibility for aging parents perceived by unmarried young adult women, with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family of origin. Methods Data of 1,405 unmarried young adult women aged from 19 to 39 years old were extracted from the 8th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ceptions of filial responsibility for aging parents and their position and relationship within the family of origin, as well as their gender role attitude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Results Analytic results revealed that, first, whether they were the eldest or had a male sibling, family positions that traditionally accompanied filial responsibility, were unrelated to their perceptions of filial responsibility for aging parents, neither the frequency of shared activity with parents. Second, those who had grown up with less strict parents, and held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positively perceived the filial responsibility for aging parents. Conclusions Social norms of filial responsibility for aging parents traditionally assigned to the eldest child or son appeared to be hardly influential on how unmarried young adult women perceived their filial responsibility, whereas positive upbringing and traditional gender-role attitude were related to the positive perception of filial responsibility.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to support unmarried young adult women’s caring of aging parents, together with the government, in the upcoming super-aged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영(Soyoung Kim). (2024).청년 미혼 여성의 원가족 특성과 부모부양의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6), 223-237

MLA

김소영(Soyoung Kim). "청년 미혼 여성의 원가족 특성과 부모부양의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6(2024): 223-2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