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이용수 55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Stress Coping and College Adaptation among Nursing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고인순(In Soon K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6호, 555~565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 스트레스대처,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파악하고 대학생활적응에 영양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경북지역 소재 1개 전문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1~4학년 학생 251명이었으며, 2021년 11월 28일~2021년 12월 30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20.0 프로그램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코로나19 스트레스 3.40점, 스트레스 대처 3.23점, 대학생활적응 3.25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코로나19 스트레스는 성별, 학년, 전공만족도에서, 스트레스 대처와 대학생활적응은 성별과 전공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코로나19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대학생활적응은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코로나19 스트레스 중 ‘사회적 거리두기의 어려움’과 스트레스 대처 중 ‘문제중심적 대처’,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가 대학생활적응을 44.4% 예측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코로나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의 어려움’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해 사회적 지지체계를 활용한 다양한 형태의 교육 및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VID19 stress and stress coping on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51 nursing college students in one university located in Gyeongbuk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by them using a self-questionnaire from November 28th to December 31th of 2021.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Scheffė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20.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for COVID19 stress was 3.40, stress coping value was 3.23 and college adaptation was 3.25.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OVID19 stress in gender, grade, and major satisfaction, stress coping and college adaptation in gender and major satisfaction. COVID19 stress, stress coping, college adaptation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Factors influencing college adaptation were ‘difficulty in social distancing’ among COVID19 stress and ‘problem-focused coping’, ‘social support’ among stress coping, which explained about 44.4% of total variance.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t may be helpful to reduce the ‘difficulty in social distancing’ among COVID19 stress and utilize active stress coping to increase college adaptation in the COVID19 situation. This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educa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utilizing social support systems is necessary for successful college adapt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인순(In Soon Ko). (2024).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6), 555-565

MLA

고인순(In Soon Ko).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6(2024): 555-5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