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Understanding Learner Agency: A Qualitative Study in a Chinese University English Classroom
이용수 10
- 영문명
- Understanding Learner Agency: A Qualitative Study in a Chinese University English Classroo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Xinxin Dai 김정인(Jungyin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6호, 509~53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16주간의 말하기 과정에서 중국 영어 전공자들이 영어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에이전시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근본적인 개인적이고 맥락적인 요인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즉 생태학적 관점을 채택함으로써 이러한 요인이 학습자 에이전시에 대한 자원 또는 제약으로 어떻게 작용하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방법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 사례 연구를 주로 사용했다. 질적 사례 연구는 2023년 3월부터 6월까지 한 학기 동안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중국인 여교사가 지도한 영어 스피킹 과정을 관찰했다. 자료는 수업 관찰, 반구조화된 면담 및 일부 관련 문서를 통해 수집되었다. 학습자 에이전시가 영어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연역적 및 귀납적 접근을 포함한 질적 분석을 사용했다.
결과 (1) 에이전시는 학생들의 영어 스피킹 능력 향상을 위해 과거 학생 개인의 경험과 연관시킨다. (2) 강한 자기 효능감은 영어 스피킹 능력 개발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지만, 학습자 대리점을 육성하는 지배적인 시험 위주의 교육 방식은 시험 준비 시간 부족으로 인해 영어 스피킹 학습을 방해할 수 있다. (3) 교사의 피드백과 상호 신뢰는 학생들의 영어 스피킹 능력 개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4) 학습 자원과 학교 지원적 정책은 학생들의 영어 스피킹 능력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5) 학생들의 학업 및 진로 목표를 포함한 미래의 열망은 개인의 영어 스피킹 능력 개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영어 학습자의 스피킹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복잡성을 보여줌으로써 생태학적 관점에서 영어 전공자들의 에이전시 제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에 대해 경험적 증거를 제공했다. 그리고 본 연구는 교육자에게 에이전시를 지원하는 영어 스피킹 수업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에 대한 교육학적 시사점을 제공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underlying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influencing Chinese English majors’ ability to build and sustain agency in improving their oral English skills during a 16-week speaking course. By adop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the research seeks to identify how these factors serve as either resources or constraints to learner agency.
Methods The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during one full semester from March to June 2023. The researchers observed an English speaking course instructed by a Chinese female teacher. Data were collected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s,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some related documents. Thematic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learners' agency in improving their oral English.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a) the students’ agency in improving their speaking skills was related to their past personal experiences; (b) strong self-efficacy belief is an important factor fostering learner agency in advancing their oral English, but the dominant exam-oriented educational tradition might hamper the oral English learning due to the time needed to prepare for exams; (c) the teachers’ feedback and mutual trust would stimulated students’ agency in enhancing their oral English; (d) learning resources and supportive school policy can contributed to the students' achievement of agency in developing their oral English; and (e) Aspirations involving academic and career goals may influence students' achievement of agency in boosting spoken English proficiency.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e complexity of factors affecting learner agency, thereby contributing empirical evidence to the chordal triad of agency from the ecological perspective. Moreover, recommendations are offered on how teachers can develop a more agency-supportive English speaking clas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Framework and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Methods
Ⅳ. Results
Ⅴ. Discussion
Ⅵ. Conclu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6호 목차
- 밀레니얼 세대의 대학시절 진로발달 유형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유학생의 학술 보고서 쓰기 전략 인식과 사용 연구
- 대학 내 성인학습자 대상 맞춤형 영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 총론과 각론 연계성 제고를 위한 교과 교육과정 구성 방안 탐색
- 생성형 AI를 활용한 수업설계 방법 탐색 및 인식 변화 연구: A 교육대학원 사례를 중심으로
- 한중 유아 음악교육과정 비교분석 연구
- AI 시대 국어과 디지털 활용 교육 연구: 디지털을 활용한 팀 발표 영상 제작 수업이 중학생의 수업참여도 및 학습경험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그릿, 긍정심리자본, 스트레스대처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학 관점으로 바라본 골프 여가활동의 경험과 의미
- 예비 체육교사의 융·복합 체육수업을 위한 수업실천 사례 연구: 교육대학원 체육교과교육론 수업을 중심으로
- Understanding Learner Agency: A Qualitative Study in a Chinese University English Classroom
- 제주형 학생맞춤통합지원 정책 다차원 분석 연구
- 창의적체험활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유형 연구
-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자기분화와의 관계: 자기침묵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 동료평가를 활용한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동료돌봄행위가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혼합연구방법
- 코로나19(COVID-19)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온라인·오프라인 자기조절학습 비교와 상호 영향에 관한 연구
- 조리 전공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 팬데믹 기간 외국인 유학생에 관한 언론보도 양상 분석: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활용하여
- 대학생의 고효과프로그램 참여가 학업성과와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학습참여의 매개효과
- 그림책 연계 로봇놀이가 만 5세 유아의 이야기이해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이 조손가정 조모의 자아통합감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중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 영향요인 탐색
- 청년 미혼 여성의 원가족 특성과 부모부양의식
- 문화 어휘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자기개념명확성이 양육불안에 미치는 영향: 물질주의와 사회비교경향성의 매개효과
- 영유아 보조교사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 비자살적 자해상담 상황별 적절한 개입에 대한 델파이조사 연구: 학교상담현장을 중심으로
- 3~5세 손자녀의 식사 돌봄을 지원하는 조모의 인식과 역할 탐색에 관한 질적연구
- 고등학교 남학생이 인식한 학교분위기가 민주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유능성을 매개변인으로
-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 대학생의 글쓰기 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사례 연구
- 유아 부모의 자녀 미디어조절력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학업열의, 협동심의 구조적 관계: 코로나 이전과 이후 비교를 중심으로
- 공군 초급간부의 핵심가치 내재화가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 치기공(학)과 실습용 샘플 모형의 타당성에 대한 3차원적 분석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적응이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스포츠에서 ‘초월적 페어플레이’의 구체적 구분과 정의
-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책무성 및 역할수행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Navigating Investment and Collaboration: A Study of Uzbek Undergraduates in a South Korean Writing Course
- 국내 거주 외국인 유학생의 자살위기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외국인 유학생 진로관련 연구동향 분석: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 봉사학습론과 적극적 시민성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제3의 길 정책의 ‘적극적 시민성’과 그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중심으로
- 북한이탈 후기청소년의 대학 진학의 의미에 대한 탐구
- 온라인 수업에 관한 중등 교사의 인식 유형 연구: 충남 지역 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 Q방법론 적용을 위한 전문상담교사 역량에 관한 탐색연구: 중고등학교교사의 FGI를 중심으로
- 영유아 어머니의 부모역할 인식과 부모교육 필요성이 부모교육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 비대면 생명과학 교수학습 상황에서 명시적 정보 제공이 초등학생의 인지 사고에 미치는 영향: 뇌전도 연구
- SNS 신체이미지 게시물이 여대생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 자기개념 명확성 집단 간 차이
- 초등 6학년 대상 영어 뮤지컬 수업 사례 연구
-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가 경험한 사회적 갈등과 양육부담감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한·중 반의어 비교 연구: 한국어 학습용 반의어를 중심으로
- 대학 내 성인학습자의 법학교육 참여 경험 분석
- 문학 치유적 글쓰기 수업에서 살펴본 대학생의 쓰기 효능감, 자존감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 학교폭력피해학생을 위한 심리지원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 그림책 읽기를 통한 유아의 언어발달 변화연구
- 신중년의 정신화,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문제음주 간 구조적 관계: 성인애착 유형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수퍼비전 관계 국내외 연구 동향: 1988년 ~ 2023년까지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사용 분석과 특성 선정을 통한 숙달도 예측 모델 개발 연구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피동 오류 연구
- 신체활동 행동인지 프로그램이 ADHD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패턴과 동작 모방 인지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동료 및 관리자와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중등 국어 교사의 논술형 평가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연구
-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 난이도 관련 연구의 체계적 문헌 분석: 1993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