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체활동 행동인지 프로그램이 ADHD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패턴과 동작 모방 인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4
- 영문명
-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Cognitive-Behavior program on physical activity Pattern and Motion Cognitive Imitation Ability in Children with ADHD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현광석(Kwang-Suk Hyun) 박정민(Jeong-Min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6호, 987~100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ADHD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행동인지 프로그램 전과 후에 신체활동 패턴과 동작 모방 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된 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는 D지역과 S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10-12세 ADHD 초등학생 33명을 대상으로 비 운동 대조그룹(NEG; Non- Exercise group/ n=11), 주 3회 이하 운동 참여그룹(DEG: Deficient Exercise group/ n=11), 주 3회 이상 운동 참여그룹(OEG: Over Exercise group /n=11)으로 선정하여 24주간 신체활동 행동인지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 수행을 통해 얻어진 자료는 SPSS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반복측정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신체활동 행동인지 프로그램에 따른 ADHD 초등학생들의 신체활동 패턴을 분석한 결과 주중 신체활동량, 주말 신체활동량, 총 신체활동량에서 OEG가 DEG와 NEG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둘째, 신체활동 행동인지 프로그램에 따른 ADHD 초등학생들의 동작 모방 인지능력을 분석한 결과 신체표시, 숫자표시, 동작, 조작에서 OEG가 DEG와 NEG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종합해 볼 때, 신체활동 행동인지 프로그램이 ADHD 초등학생들의 신체활동 패턴과 동작 모방 인지에 효과적인 운동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OEG 그룹의 신체활동 패턴과 동작 모방 인지 변인의 긍정적인 변화와 DEG 그룹의 변화는 비 참여그룹에 비해 긍정적인 결과임을 확인한 결과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cognitive-behavior program on physical activity pattern and motion cognitive Imitation ability in children with ADHD in elementary school.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children with ADHD in elementary school at D, and S local, were selected at random and allocated 33 children with ADHD in elementary school each for the Non Exercise group(NEG), Deficient Exercise group(DEG), Over Exercise group(OEG) and measured physical activity pattern and motion cognitive imitation ability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data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the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and Bonferroni post-hoc test was performed.
Results The physical activity cognitive-behavior program for 24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of physical activity pattern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y cognitive-behavior program, OEG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NEG and DEG.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of motion cognitive imitation ability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y cognitive-behavior program, OEG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NEG and DEG.
Conclusions As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hysical activity cognitive-behavior program on physical activity pattern and motioncognitive imitation ability distribution in children with ADHD in elementary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6호 목차
- 밀레니얼 세대의 대학시절 진로발달 유형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유학생의 학술 보고서 쓰기 전략 인식과 사용 연구
- 대학 내 성인학습자 대상 맞춤형 영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 총론과 각론 연계성 제고를 위한 교과 교육과정 구성 방안 탐색
- 생성형 AI를 활용한 수업설계 방법 탐색 및 인식 변화 연구: A 교육대학원 사례를 중심으로
- 한중 유아 음악교육과정 비교분석 연구
- AI 시대 국어과 디지털 활용 교육 연구: 디지털을 활용한 팀 발표 영상 제작 수업이 중학생의 수업참여도 및 학습경험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그릿, 긍정심리자본, 스트레스대처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학 관점으로 바라본 골프 여가활동의 경험과 의미
- 예비 체육교사의 융·복합 체육수업을 위한 수업실천 사례 연구: 교육대학원 체육교과교육론 수업을 중심으로
- Understanding Learner Agency: A Qualitative Study in a Chinese University English Classroom
- 제주형 학생맞춤통합지원 정책 다차원 분석 연구
- 창의적체험활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유형 연구
-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자기분화와의 관계: 자기침묵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 동료평가를 활용한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동료돌봄행위가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혼합연구방법
- 코로나19(COVID-19)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온라인·오프라인 자기조절학습 비교와 상호 영향에 관한 연구
- 조리 전공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 팬데믹 기간 외국인 유학생에 관한 언론보도 양상 분석: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활용하여
- 대학생의 고효과프로그램 참여가 학업성과와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학습참여의 매개효과
- 그림책 연계 로봇놀이가 만 5세 유아의 이야기이해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이 조손가정 조모의 자아통합감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중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 영향요인 탐색
- 청년 미혼 여성의 원가족 특성과 부모부양의식
- 문화 어휘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자기개념명확성이 양육불안에 미치는 영향: 물질주의와 사회비교경향성의 매개효과
- 영유아 보조교사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 비자살적 자해상담 상황별 적절한 개입에 대한 델파이조사 연구: 학교상담현장을 중심으로
- 3~5세 손자녀의 식사 돌봄을 지원하는 조모의 인식과 역할 탐색에 관한 질적연구
- 고등학교 남학생이 인식한 학교분위기가 민주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유능성을 매개변인으로
-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 대학생의 글쓰기 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사례 연구
- 유아 부모의 자녀 미디어조절력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학업열의, 협동심의 구조적 관계: 코로나 이전과 이후 비교를 중심으로
- 공군 초급간부의 핵심가치 내재화가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 치기공(학)과 실습용 샘플 모형의 타당성에 대한 3차원적 분석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적응이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스포츠에서 ‘초월적 페어플레이’의 구체적 구분과 정의
-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책무성 및 역할수행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Navigating Investment and Collaboration: A Study of Uzbek Undergraduates in a South Korean Writing Course
- 국내 거주 외국인 유학생의 자살위기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외국인 유학생 진로관련 연구동향 분석: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 봉사학습론과 적극적 시민성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제3의 길 정책의 ‘적극적 시민성’과 그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중심으로
- 북한이탈 후기청소년의 대학 진학의 의미에 대한 탐구
- 온라인 수업에 관한 중등 교사의 인식 유형 연구: 충남 지역 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 Q방법론 적용을 위한 전문상담교사 역량에 관한 탐색연구: 중고등학교교사의 FGI를 중심으로
- 영유아 어머니의 부모역할 인식과 부모교육 필요성이 부모교육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 비대면 생명과학 교수학습 상황에서 명시적 정보 제공이 초등학생의 인지 사고에 미치는 영향: 뇌전도 연구
- SNS 신체이미지 게시물이 여대생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 자기개념 명확성 집단 간 차이
- 초등 6학년 대상 영어 뮤지컬 수업 사례 연구
-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가 경험한 사회적 갈등과 양육부담감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한·중 반의어 비교 연구: 한국어 학습용 반의어를 중심으로
- 대학 내 성인학습자의 법학교육 참여 경험 분석
- 문학 치유적 글쓰기 수업에서 살펴본 대학생의 쓰기 효능감, 자존감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 학교폭력피해학생을 위한 심리지원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 그림책 읽기를 통한 유아의 언어발달 변화연구
- 신중년의 정신화,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문제음주 간 구조적 관계: 성인애착 유형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수퍼비전 관계 국내외 연구 동향: 1988년 ~ 2023년까지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사용 분석과 특성 선정을 통한 숙달도 예측 모델 개발 연구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피동 오류 연구
- 신체활동 행동인지 프로그램이 ADHD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패턴과 동작 모방 인지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동료 및 관리자와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중등 국어 교사의 논술형 평가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연구
-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 난이도 관련 연구의 체계적 문헌 분석: 1993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