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학생의 학술 보고서 쓰기 전략 인식과 사용 연구

이용수 149

영문명
A Study on International Students’ Perceptions and Use of Writing strategies for Academic Report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보현(Bohyeon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6호, 135~14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한국어 학습자가 학술 보고서를 작성할 때 활용하는 쓰기 전략의 사용 실태와 이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실제로 학술 보고서를 작성하는 전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쓰기 전략을 활용하는지, 그리고 쓰기 전략의 개념이나 자신의 쓰기 전략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특히 보고서 쓰기 성취도가 높은 학습자와 낮은 학습자 집단을 나누어 조사 결과를 비교하여 보고서 성취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쓰기 전략이 무엇인지 추론하고 이를 통해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과 관련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현재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학술 보고서 작성 시 사용하는 쓰기 전략에 대한 인식과 실제 사용 양상을 조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022년 2학기와 2023년 1학기 국내 C 대학과 G 대학에서 교양 한국어 및 의사소통 수업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모집하였으며, 설문 조사는 2022년 2학기의 경우 2022년 9월 9일과 16일(1차), 2022년 12월 9일(2차)에 실시되었고 2023년 1학기의 경우 2023년 3월 15일(1차), 2023년 6월 14일(2차)에 실시되었다. 자료 수집과 성취도 평가는 각 학기 말 기간(2022년 12월 9일 ~ 23일, 2023년 6월 14일 ~ 23일) 동안 진행하여 이후 2023년 7월부터 10월까지 3개월간 조사 결과 수합과 분석 과정을 거쳤다. 유학생 보고서 쓰기 전략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주관식 및 서술형 설문 결과를 연구자가 검토하여 전반적인 양상 및 집단별 차이를 도출하였고 쓰기 전략 사용에 대한 조사 결과는 전체 기술 통계와 교차 분석(카이제곱 독립성 검정)을 통해 전반적인 양상 및 집단별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결과 조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연구 참여자들은 전반적으로 학술 보고서 작성 시 활용되는 쓰기 전략에 대한 인식과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으며 교육 요구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세부 전략과 활용 방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인식하지 못하였다. 실제 전략 사용에서는 인식에 비해 다양한 세부 전략이 나타나기는 했지만, 전반적인 전략 사용은 저조하였다. 더불어 보고서 쓰기 성취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사이의 전략 사용 양상에서 일부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할 수 있다. 먼저 학습자의 쓰기 전략 사용 실태를 상세히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학생을 위한 학술 보고서 쓰기 전략 교육이 보다 구체적이고 명시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향후 쓰기 전략 사용과 보고서 쓰기 성취도에 대한 면밀한 연구를 통해 학술 보고서 쓰기에 유용한 전략과 그렇지 않은 전략을 구분하여 교육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writing strategies employed by Korean language learners enrolled in domestic universities when composing academic reports, as well as the learners' perceptions of these strategies. Specifically, the study seeks to empirically identify which writing strategies are utilized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writing academic reports and how learners perceive the concept of writing strategies and their own use of them. The research further compares the results between groups with high and low report writing achievement to infer the writing strategies that contribute to higher achievement, thereby drawing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KAP) writing instruction. Methods To achieve this objectiv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00 foreign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domestic universities to examine their perceptions and actual use of writing strategies when composing academic report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students who took liberal arts Korean and communication classes at universities C and G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22 and the first semester of 2023. The surveys were administered on September 9 and 16 (first round), and December 9 (second round) in 2022, and on March 15 (first round) and June 14 (second round) in 2023. Data collec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s were conducted during the end-of-semester periods (December 9-23, 2022, and June 14-23, 2023), followed by a three-month data collation and analysis period from July to October 2023. The researcher's review of the open-ended survey responses regarding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writing strategies provided an overall trend and group-specific differences.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Chi-square test of independence), was used to verify the overall trends and group-specific differences in the use of writing strategies. Result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revealed several key observations. Overall participants demonstrated a generally high awareness of the writing strategies pertinent to academic report composition, along with their perceived significance, indicating a considerable educational demand. However, their understanding of specific strategies and their application methods was found to be somewhat lacking. While a diverse array of specific strategies surfaced in actual usage, overall strategy implementation remained modest. Furthermore, discernible differences in strategy utilization patterns between cohorts with high and low report writing achievements were identified.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several recommendations for academic Korean writing strategy education can be proposed. Firstly, there is a need to thoroughly understand learners' utilization patterns of writing strategies and use this as a basis for more specific and explicit education on academic report writing strategies for foreign students. Additionally, future research should closely examine writing strategy usage and report writing achievements to differentiate between useful and less effective strategies for educational purposes.

목차

Ⅰ. 서론
Ⅱ. 언어 교육과 쓰기 전략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보현(Bohyeon Kim). (2024).유학생의 학술 보고서 쓰기 전략 인식과 사용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6), 135-149

MLA

김보현(Bohyeon Kim). "유학생의 학술 보고서 쓰기 전략 인식과 사용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6(2024): 135-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