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학 치유적 글쓰기 수업에서 살펴본 대학생의 쓰기 효능감, 자존감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이용수 197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Writing Efficacy,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 Literary Therapeutic Writing Cours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의정(Eui-Jeong Kim) 표시연(Si-Yeon Py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6호, 417~43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 치유적 글쓰기 수업에서 대학생의 쓰기 효능감, 자존감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통해 인지 영역에 치중된 학술적 글쓰기 위주의 대학 글쓰기 교육에 정서 및 감성 영역의 균형을 도모하는 치유적 글쓰기의 효과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대학에서 문학치료입문 교과목을 수강하는 30명을 대상으로 학기 초와 학기 말에 사전-사후 쓰기 효능감 및 자존감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한 학기동안 문학 작품을 읽고, 토론과 성찰일지를 비롯하여 일련의 치유적 글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결과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쓰기 효능감과 자존감 모두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미한 변화를 초래하였다. 쓰기 효능감 영역에서는 표현기능이, 자존감 영역에서는 ‘자기주장과 불안’과 ‘지도력과 인기’범주에서 가장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승을 보였다. 이 두 변수와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모두 양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쓰기 효능감과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가 자존감과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정성적·정량적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치유적 글쓰기 활동은 대학생의 쓰기 효능감 및 자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업성취도와 비례관계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문학 치유적 글쓰기 수업은 수용적 지식에 익숙했던 대학생들에게 표현적 기술 습득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문학 작품을 통해 다양한 감정을 반추할 기회를 주며, 일련의 글쓰기 활동을 통해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생성하여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토론을 통해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갖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writing efficacy,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 literary therapeutic writing course. Through this, empirical evidence on the effectiveness of therapeutic writing in fostering a balance between cognitive-focused academic writing and emotional and affective domains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is sought. Methods To achieve this, a survey measuring pre- and post-writing efficacy and self-esteem was conducted among 30 students enrolled in an introductory course on literary therapy at a university in Gyeonggi-do. Throughout the semester, students engaged in a series of therapeutic writing activities, including reading literary works, participating in discussions, and maintaining reflective journals. Results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revealed significant changes in both writing efficacy and self-esteem from pre-test to post-test. In the domain of writing efficacy, the expressive function showed the 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while in the self-esteem domain, the categories of ‘assertiveness and anxiety’ and ‘leadership and popularity’ exhibited the highest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se two variables and academic achievement showed consiste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writing 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being higher than that between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s Based o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therapeutic writing activities have been shown to positively impact college students' writing efficacy and self-esteem, with a verified proportional relationship to academic achievement. The literary therapeutic writing course has effectively raise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xpressive skills acquisi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ccustomed to receptive knowledge.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on various emotions through literary works and engaging in a series of writing activities and discussions to articulate one's emotions and thoughts concretely, the course fosters a positive perspective about oneself.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의정(Eui-Jeong Kim),표시연(Si-Yeon Pyo). (2024).문학 치유적 글쓰기 수업에서 살펴본 대학생의 쓰기 효능감, 자존감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6), 417-432

MLA

김의정(Eui-Jeong Kim),표시연(Si-Yeon Pyo). "문학 치유적 글쓰기 수업에서 살펴본 대학생의 쓰기 효능감, 자존감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6(2024): 417-4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