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 난이도 관련 연구의 체계적 문헌 분석: 1993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용수 94

영문명
Systematic Literature Analysis of the on the Difficulty Policy of the English Language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From 1993 to 2022, focusing on domestic journal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강영애(Youngae Kang) 김건아(Geon Ah Kim) 정제영(Jae Young Ch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6호, 1~1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의 난이도에 관련된 체계적 문헌 분석을 실시하여 국내 연구 동향을 살피고, 수능 난이도에 영향을 준 정책과 그 효과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능 시험이 도입된 1993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수능 난이도 관련 국내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PRISMA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전반적인 수능 난이도 연구물 56편을 선정하여 1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가운데 영어 영역 난이도 연구 논문 24편을 선별하여 2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수능 난이도 관련 연구는 다양한 과목에서 이루어졌으나 그 중 영어 과목의 난이도 관련 연구가 24편(42.8%)으로 가장 많았고 수능 영어 영역 난이도 연구에서 두드러진 특징은 수능 정책과 난이도의 연관성을 살핀 연구들이 다수 발견되었다는 점이다. 결론 첫째, 2014년 이후 급격히 증가한 영어 영역 수능 난이도 연구는 독해 지문의 언어적 특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수능 영어 영역 난이도에 영향을 준 정책은 EBS 연계 정책이다. 셋째, 수능 영어 절대 평가로 인한 문항 난이도는 큰 변화가 없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systematic literature analysis on the difficulty level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SAT’) to examine domestic research trends, and to explore policies that have influenced the difficulty level of the CSAT and their effects. Methods To achieve this, a systematic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on domestic research papers related to the difficulty level of the CSAT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the year of its introduction in 1993 to 2022. Based on the PRISMA guidelines, 56 overall SAT difficulty studies were selected and the first analysis was conducted. Among them, 24 papers on difficulty in the English domain were selected and the second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Studies related to the difficulty level of the CSAT have been conducted across various subjects including Korean, English, mathematics, second foreign language, social studies, history, science, agriculture, and others. Among these, research on the difficulty level of the English subject comprised the largest portion with 24 articles (42.8%). A prominent characteristic of studies on the difficulty level of the CSAT English section is the prevalence of research exploring the correlation between CSAT policies and difficulty level. Conclusions First, the significant increase in studies on the difficulty level of the CSAT English section since 2014 has primarily focused on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reading passages. Second, the policy that influenced the difficulty level of the CSAT English section is the policy associated with EBS (Educational Broadcasting System).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difficulty level of test items due to the CSAT English section being graded on an absolute scal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영애(Youngae Kang),김건아(Geon Ah Kim),정제영(Jae Young Chung). (2024).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 난이도 관련 연구의 체계적 문헌 분석: 1993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6), 1-17

MLA

강영애(Youngae Kang),김건아(Geon Ah Kim),정제영(Jae Young Chung).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 난이도 관련 연구의 체계적 문헌 분석: 1993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6(2024): 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