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의적체험활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유형 연구

이용수 50

영문명
A Study on Perception Types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한솔(Hansol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6호, 757~77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자율성을 특징으로 하는 창의적체험활동은 교사가 이를 어떻게 인식하는지가 수업의 질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체험활동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창의적체험활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유형과 그 특징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총 120개의 Q 모집단을 수집하였으며 삼각 검증을 통해 주제와의 관련성, 내용 중복성, 의미 명확성 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총 31개의 Q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후 34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Q 분류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바탕으로 요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창의적체험활동에 대한 인식 유형은 총 네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학생 자치를 실현하는 시간, 친구들과의 관계 형성 시간, 교과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을 다루는 시간, 꿈과 진로에 도움이 되는 시간에는 모든 유형이 동의하였다. 반면 비교과교사나 강사를 초청하여 진행하는 수업, 교사가 쉴 수 있는 시간, 부족한 교과 시간을 채우는 시간에는 모든 유형이 비동의하였다. 둘째, 네 유형의 특징에 따라 ‘현실적 제약에 의한 체험활동 기피형’, ‘자율성에 기반한 학생 중심의 시간형’, ‘교사가 자유로운 시간형’, ‘교과 밖 주제 실천 시간형’으로 명명하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몇 가지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체험활동을 위한 행·재정적 절차의 간소화나 원활한 수행을 돕는 연수 및 매뉴얼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창의적체험활동 수업 사례에 대한 공유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셋째, 서로의 교육관을 존중하고 이해하는 열린 자세로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characterized by autonomy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how teachers perceive them.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Methods For this purpose, Q methodology was used. A total of 31 Q samples were used, and Q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on 34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ults First, the perception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nd all types agreed that it is a time to realize student autonomy, a time to build relationships with friends, a time to cover content not covered in the main subjects, and a time to help students pursue their dreams and careers. On the other hand, all types disagreed that it is a time to invite non-curricular teachers or lecturers to teach, a time to allow teachers to take a break, and a time to fill in the lack time of main subjects . Seco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 types, they were named as ‘Avoiding experiential activities due to practical constraints’, ‘Student-centered time based on autonomy’, ‘Teacher-led time’, and ‘Time to practice extracurricular topics’. Conclusions These findings have several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there is a need to simplify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procedures for experiential activities and to provide training to facilitate their implement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mote sharing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lass cases. Third, it is necessary to look at each other's educational views with an open attitude of respect and understand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한솔(Hansol Lee). (2024).창의적체험활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유형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6), 757-778

MLA

이한솔(Hansol Lee). "창의적체험활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유형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6(2024): 757-7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