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온라인 수업에 관한 중등 교사의 인식 유형 연구: 충남 지역 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27

영문명
A study on the types of perception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online classes: Focusing on the cases of teachers in the Chungnam reg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형상(Hyong Sang Lee) 김혜진(Hye Jin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6호, 1029~104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등 교사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을 Q방법론을 통해 분석하고, 그 결과를 유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와 개별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문헌과 심층 면담 자료를 활용해 138개의 Q모집단을 추출한 후, 전문가 검토 과정을 거쳐 31개의 Q표본을 설정하였다. 이후 충남 지역의 중등교사 30명의 P표본을 조직하고 Q-sorting을 진행하였다. 결과 Q-sorting 자료는 PQMethod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4개의 인식 유형이 도출되었다. 결론 A유형은 ‘문제에 초점을 두는 한계인식형’으로, 이 유형은 온라인 수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기존의 대면 수업 형태의 유지를 선호하는 유형이다. B유형은 ‘효과를 긍정하는 주도적 대처형’으로, 이 유형은 온라인 수업의 긍정적인 측면을 인식하고 온라인 수업을 더욱 활성화해야 한다는 유형이다. C유형은 ‘교사능력을 우선시하는 역량 함양형’으로, 이 유형은 온라인 수업을 장점을 부정하지 않으나 온라인 수업에 필요한 역량 함양에 어려움을 느끼는 유형이다. D유형은 ‘발전에 초점을 두는 미래교육형’으로, 이 유형은 온라인 수업이 미래 교육의 주요한 흐름으로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온라인 수업을 준비해야 한다는 유형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condary school teacher’s subjective perceptions of online classes through the Q methodology and to categorize the results. Methods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dividual surveys. From the collected data, 138 Q-populations were extracted using literature and in-depth interview data, and 31 Q-samples were established through an expert review process. Subsequently, a P-sample of 30 secondary school teachers from the Chungnam region was organized, and Q-sorting was conducted. Results The Q-sorting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Q Method program, resulting in the identification of four perception types. Conclusions Type A is a ‘limitation-aware type that focuses on problems.’ This type perceives online classes negatively and prefers maintaining the existing face-to-face class format. Type B is a ‘proactive coping type that affirms the effectiveness’, and this type is a type that recognizes the positive aspects of online classes and requires further activation of online classes. Type C is a ‘capacity development type that prioritizes teacher ability.’ This type does not deny the advantages of online classes, but finds it difficult to develop the competencies necessary for online classes. Type D is a ‘future education type that focuses on development.’ This type recognizes online classes as a major trend in future education and requires students to actively prepare for online class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연구 절차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형상(Hyong Sang Lee),김혜진(Hye Jin Kim). (2024).온라인 수업에 관한 중등 교사의 인식 유형 연구: 충남 지역 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6), 1029-1044

MLA

이형상(Hyong Sang Lee),김혜진(Hye Jin Kim). "온라인 수업에 관한 중등 교사의 인식 유형 연구: 충남 지역 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6(2024): 1029-10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