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업 관련 요인은 청소년의 자기결정성동기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이용수 148

영문명
Changes i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f Korean Adolescence: Latent Profile Transfer Analysis and Predictive Effect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장희선(Heesun Ch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2호, 749~77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성장함에 따른 청소년의 자기결정성동기 잠재프로파일 변화추이를 분석하고, 수업관련 요인의 예측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자료 중 2017년 중학교3학년에서 2019년 고등학교 2학년으로 성장하는 종단패널자료 총 7,324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하고 성장에 따른 잠재집단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잠재전이분석과 수업관련 변인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중학교 3학년 자기결정성동기 잠재프로파일은 무동기형, 저동기형, 평균동기형, 고동기형, 자율동기형으로, 고등학교 2학년은 무동기형, 타율동기형, 평균동기형, 고동기형, 자율동기형의 각각 5개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가장 높은 전이패턴은 ‘평균동기형’에서 ‘평균동기형’, ‘타율동기형’ 순이었다. 셋째, 상호작용수업, 교사관계, 개별화 수업은 정적, 교사성취압력은 부적인 예측효과를 보였다 학업스트레스는 ‘고동기형’의 경우 정적 예측효과를 보였다. 결론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자기결정성동기의 전이양상을 토대로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방식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에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hange in the latent profile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s it grew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and to examine the predictive effects of teaching methods, teacher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stress. Methods For this purpose, Utilizing data from the 2013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a longitudinal panel of 7,324 students tracked from 3rd grade middle school in 2017 to 2nd grade high school in 2019 was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followed by latent transition analysis to identify changes in latent groups over time. To assess the impact of class-related variable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Results First, the latent profile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were classified into five latent groups: amotivation, heteronomous, low, moderate, and autonomous motivation type. Second, the highest transition pattern is the pattern maintained from the moderate type to the moderate type. Third, interaction classes, teacher relationships, and individualized classes showed positive predictive effects, and teacher achievement pressure showed negative predictive effects. Academic stress showed positive predictive effects in the case of ‘high motivation type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transfer pattern of adolescent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instruction and interaction to improve i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희선(Heesun Chang). (2024).수업 관련 요인은 청소년의 자기결정성동기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2), 749-770

MLA

장희선(Heesun Chang). "수업 관련 요인은 청소년의 자기결정성동기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2(2024): 749-7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