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 학습역량 척도 타당화 연구

이용수 92

영문명
Validation study of college student learning competency scale: Focusing on the case of P Universit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채다영(Da-young Chae) 이슬이(Seulyi Lee) 이진령(Jin-young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2호, 525~54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습역량을 살펴보기 위하여 관련 구성요인을 설정하고 이를 진단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학습역량 척도를 개발하고자 학습역량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학습역량 구성요인을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3개 영역, 9개 하위요인을 추출하였다. 이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개발된 예비문항을 전문가 검토를 통해 수정·삭제하여 총 67문항을 구성하였다. 예비문항 조사결과 신뢰도를 저해하는 1개 문항을 제외하고 66개 문항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P대학의 대학생 358명이 응답한 결과를 바탕으로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인지적 영역에서는 메타인지, 창의적 문제해결력, 종합사고력 3개 요인의 설명량은 68.20%로 19문항이 도출되었다. 정의적 영역에서는 학습끈기, 학습동기 2개의 요인으로 설명량 64.73%로 13문항이 도출되었다. 행동적 영역에서는 학습전략, 협업·의사소통, 목표·시간관리 3개 영역으로 설명량 64.12%로 28문항이 도출되었다. 이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총 60문항으로 구성된 학습역량 척도를 개발하였다.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Cronbach a .964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습역량 척도는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강약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프로그램의 성과를 분석하고 프로그램을 환류·개선하는 데 기반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related components and develop a scale to diagnose them in order to examine the learning capabilities of college students. Methods In order to develop a learning competency scale,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learning competency was reviewed and learning competency components were extracted into 3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fators and 9 sub-factors. Next, preliminary questions develop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were revised and deleted through expert review, resulting in a total of 67 questions. As a result of the preliminary survey,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with 66 questions, excluding one question that undermined reliability. Validity was verified by conduct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responses of 358 college students at P University. Result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the cognitive factor, the explanatory amount of the three factors - metacognitio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mprehensive thinking ability - was 68.20%, resulting in 19 questions. In the affective factor, 13 questions were derived with an explanation amount of 64.73% with two factors, learning persistence and learning motivation. In the behavioral factor, 28 questions were derived with an explanation amount of 64.12% in three factors: learning strategy, collaboration·communication, and goal·time managemen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then conducted and a learning competency scale consisting of a total of 60 questions was developed. As a result of verifying reliability, Cronbach a was found to be good at .964. Conclusions The learning competency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help learners understand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in learning, and will serve as a basis for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learning programs conducted at universities and feedback and improvement of the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채다영(Da-young Chae),이슬이(Seulyi Lee),이진령(Jin-young Lee). (2024).대학생 학습역량 척도 타당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2), 525-542

MLA

채다영(Da-young Chae),이슬이(Seulyi Lee),이진령(Jin-young Lee). "대학생 학습역량 척도 타당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2(2024): 525-5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