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조언어학적 관점을 통한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음화 오류양상 고찰과 시사점

이용수 146

영문명
Examination of nasalization error patterns and implications for Vietnamese-speaking Korean learners through a contrastive linguistics perspectiv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강수정(SuJung Kang) 쩐반뜨(TranVan Tu)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2호, 591~61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환경별로 나타나는 비음화 오류의 양상을 고찰하여 교육적인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러한 논의를 진행하고자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검토한 후에 환경별 비음화 오류율을 분석할 기준을 마련하였다. 그 후에 2023년 1월 30일부터 2024년 1월 30일까지 국내의 19세~30세의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 15명을 대상(남녀 각각 5명, 10명)으로 기초설문 이후 줌(Zoom)에서 1:1 화상으로 만나 미리 준비한 비음화 관련의 단어들을 발화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오답과 정답 여부를 판정하여, 전반적인 결과와 환경별 특성에 따른 보다 상세한 오류 유형과 그 양상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대조언어학과 관련된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서는 양 언어 간의 음절 구조 차이를 통한 비음화의 근본적인 발생 원인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기초설문을 통해서는 비음화 교육에 대한 높은 요구에도 불구하고 교육 경험이 없어 인식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환경별 오류양상 결과에서는 ‘ㄴ’ 첨가 후의 비음화나 자음군단순화 후의 비음화의 경우가 가장 높은 비율이 나타났는데, 이는 표준어인 한국어의 비음화 규칙 가운데 환경별 비음화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단어 내부’ 보다는 ‘단어 경계’에서의 높은 오류율이 나타남을 통해서도 비음화 교육은 ‘구 단위’로서 해야 함을 도출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앞서 높은 오류율을 보인 환경에서의 지역별, 등급별, 성별별에 따른 오류양상도 살핀 결과 모든 등급에서 유사한 비음화 발음의 어려움을 보인 반면에 지역별에서는 북부와 중부보다는 남부에서, 성별별에서는 여자보다는 남성에서 높은 오류율을 보였다. 결론 이처럼 이번 연구는 베트남어권 학습자들의 보다 다양한 환경에서의 비음화 오류의 실태(환경별 총 오답률과 단어내부/경계별 오답률)를 파악하여 기존 선행연구들과 달리 교육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와 시사점도 얻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educational implications by examining the patterns of nasalization errors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that appear in each environment among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Methods In order to proceed with this discussion, we first reviewed previous research and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n established standards to analyze the nasalization error rate by environment. After that, from January 30, 2023 to January 30, 2024, in Korea, 19 to 30-year-olds After a basic survey, 15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5 men and 10 women each) met 1:1 via Zoom and were asked to utter pre-prepared words related to nasal pronunciation. Then, by determining whether the answer was incorrect or correct, more detailed error typ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overall result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environment were extrac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contrastive linguistics,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cause of nasalization through differences in syllable structure between the two languages, and through a basic survey, despite the high demand for nasalization education, there was no awareness due to lack of educational experience. I could see that it was lacking. In addition, the results of error patterns by environment showed that the highest rate was in the case of ‘nasalization after adding ‘ㄴ’ or ‘nasalization after consonant group simplification.’ It was found that this was caused by a lack of awareness of nasalization by environment among the nasalization rules of Korean, the standard language. In addition, the higher error rate at ‘word boundaries’ rather than ‘word interior’ showed that nasalization education should be done ‘by phrase’. Lastly, as a result of examining error patterns by region, grade, and gender in an environment that previously showed a high error rate, all grades showed similar difficulties in pronunciation of bar consonants, but by region, it was more common in the south than in the north and central regions, and by gender, more than in women. A high error rate was observed in men. Conclusions In this way, this study identified the actual status of nasalization errors (total error rate by environment and error rate by word interior/boundary) of Vietnamese learners in more diverse environments and, unlike existing previous studies, provided basic data and implications for preparing educational measures. It was a meaningful study in that it was able to obtain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수정(SuJung Kang),쩐반뜨(TranVan Tu). (2024).대조언어학적 관점을 통한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음화 오류양상 고찰과 시사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2), 591-615

MLA

강수정(SuJung Kang),쩐반뜨(TranVan Tu). "대조언어학적 관점을 통한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음화 오류양상 고찰과 시사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2(2024): 591-6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