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인여성의 학습공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이용수 179

영문명
Qualitative Case Study on Adult Women's Learning Spaces Experienc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백정숙(Jung-Sook Bae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2호, 649~66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공간이 생산된다고 주장한 Lefebvre의 관점을 활용해서 사회적 공간의 획일화에 대한 자율적 저항이라는 문제의식 위에 학습공간 참여자의 경험을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참여자가 경험한 학습공간의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참여자의 학습공간 경험은 사회적으로 어떤 의미와 영향을 갖는가? 셋째, 참여자의 학습공간 경험은 어떤 평생교육적 의미가 있는가?로 정하였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연구자와 같은 지역에 살고 있는 3명과, 연구자가 근무하는 기관의 프로그램 참여자 3명으로 구성하여 2022년 10월부터 2023년 8월까지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연구참여자들과의 선이해로 연구 변질을 가져오지 않기 위해 평생교육전공 박사와 현장전문가에게 검토를 받으며 자료 분석과 해석과정을 수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참여자들은 학습공간에서 미루었던 학습기회를 가질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배움 자체의 즐거움을 경험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학습공간에 참여하면서 지역주민들에게 학습을 촉구하여 사회적 변화의 뿌리가 되도록 도왔다. 셋째, 참여자들은 학습공간에서 다른 학습자와 상호작용을 통해 활력을 얻었고, 지속적인 경험을 통하여 평생학습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결론 평생학습의 확대로 만들어진 학습공간이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으로 또 다른 학습공간으로 재탄생됨을 밝혔다. 이를 통해 학습은 특정 공간뿐만 아니라 일상 곳곳에서도 이루어지며, 학습공간은 개인과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음을 내포하고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in learning spaces based on Lefebvre's perspective, which claims that space is produced, focusing on the problem of autonomous resistance against the homogenization of social space. The research questions are: Firstly, what is the meaning of the learning spaces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Secondly, what social significance and impact do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in learning spaces have? Thirdly, what are the lifelong educational implications of participants' experiences in learning space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three individuals living in the same area as the researcher and three participants from programs at the institution where the researcher work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22 to August 2023. To prevent any bias that might arise from the researcher's prior understanding of the participants, the researcher sought the review of a doctoral expert in lifelong education and a field specialist during the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rocess.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participants were able to experience the joy of learning by having learning opportunities they had postponed in the learning space. Secondly,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space, participants encouraged learning among local residents, contributing to the roots of social change. Thirdly, the learning space provided vitality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 participants and offered the potential for lifelong learning through continuous experiences. Conclusions It was revealed that the learning space created through the expansion of lifelong learning was reborn as another learning space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Through this, learning takes place not only in specific spaces but also in everyday life, and learning spaces have the potential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individuals and the commun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정숙(Jung-Sook Baek). (2024).성인여성의 학습공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2), 649-666

MLA

백정숙(Jung-Sook Baek). "성인여성의 학습공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2(2024): 649-6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