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체육교과 세계민속무용 영역 내용 분석

이용수 51

영문명
Content Analysis of World Folk Dance in Prim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a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한애진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1호, 813~82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1.15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체육과 교과과정의 세계민속무용 표현영역 내용에 대한 문화교육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5학년 체육교과서를 8종 확보한 다음 근거이론에 기초해 개방코딩과 축코딩, 선택코딩의 절차를 활용하여 주요 개념을 도출하였으며, 각 교과서에 언급된 총 20개국 38개 세계민속무용을 국가별, 유형별, 내용별로 분류하고, 민속무용의 양식적 특징을 탐색하여 민속표현과 문화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자문화기술지로 디아스포라 문화와 문화혼종성의 개념을 연결하고, 다문화 축제와 세계의 축제에서 민속무용이 나타나는 공간과 신체 표현 활동을 고찰하였다. 결과 세계민속무용에 나타난 민속표현의 고유한 특징을 무용과 문화의 관계로 연결하여 문화정체성, 문화다양성, 문화혼종성 세 요소를 문화교육적 의미로 제시하였다. 첫째, 문화정체성은 세계민속무용을 국가별, 유형별, 목적별, 내용별, 표현방법별로 분류하고, 거기에 내재된 민속표현에서 각 민족의 문화정체성 개념을 살펴보았다. 둘째, 문화다양성은 세계민속무용의 신체표현과 움직임을 관찰하면서 각 집단의 공유 문화를 이해하고, 다름에서 차이를 인정하며, 타 문화를 이해하는 태도와 문화다양성의 가치를 인지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셋째, 문화혼종성은 세계민속무용의 원형을 모방하여 새로운 민속표현을 창작하는 활동에서 한국과 그 민족 간의 경계에 공간이 생기며 새로운 문화 요소를 생성하게 되는 문화적 혼종성의 공간으로 해석하였고, 신체표현 활동을 활용하여 문화혼종성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결론 초등학교 5학년 체육과 교과과정 표현영역에서 다루는 세계민속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기르는 데 세계민속무용이 어떠한 문화교육적 가능성을 제시하는지 살펴볼 수 있다. 또한 학습자의 신체 움직임으로 다양한 비언어적 표현 능력을 기르며 자문화와 타 문화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이 연구가 세계민속무용을 문화로 이해하고, 문화교육적 의미에서 문화교육의 실천에 도움이 되는 필수 표현활동 영역으로 폭넓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education within the domain of world folk dance as integrated into prim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a. Methods The study applied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echniques rooted in grounded theory principles. The analysis encompassed eight distinct prim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tailored for fifth-grade students,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segment dedicated to folk expression through world folk dance. The research involved categorizing content by the countries of origin, dance types, and specific dance composi-tions, encompassing a comprehensive scope of 20 nations and 38 distinct dance works featured in these textbooks. This analysis aimed to delve into the realm of folk expression while concurrently examining its relation-ship with cultural education, with a particular focus on discerning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within the realm of folk dance. Through the autoethnography as a qualitative methodology, this study connects the concepts of dia-spora and cultural hybridity. It explores diaspora space appeared in diaspora festivals and the world festivals that include folk dances. Results The analysis of prim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reveals three fundamental aspects of cultural education such as cultural identity,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hybridity within the context of world folk dance. First, Cultural Identity: World folk dance serves as a conduit for students to connect with and express their cultural heritage. It provides a platform for celebrating one’s cultural identity through physical movement. Second, Cultural Diversity: The inclusion of folk dances from diverse nations exposes students to the rich tapestry of global cultures. This exposure fosters an appreciation for the diversity of human traditions, promoting tolerance and understanding. Finally, Cultural Hybridity: Some folk dances exhibit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ybridity, where di-verse cultural influences merge to create unique dance forms. This aspect underscores the dynamic nature of culture and the interconnectedness of different societies. Conclusions The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world folk dance in prim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a, particularly for fifth-grade students. World folk dance serves as a valuable tool for enhancing students’ non-verbal expressive abilities through physical movements, simultaneously deepening their comprehension of diverse cultural perspectives. By framing world folk dance as an integral facet of culture, the research encourages educators to provide optimal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ngage in meaningful expression activities within the realm of cultural education. The integration of world folk dance into prim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a enriches students’ cultural experiences and aligns with broader goals such as cultural identity,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hybrid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애진. (2023).초등학교 체육교과 세계민속무용 영역 내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21), 813-829

MLA

한애진. "초등학교 체육교과 세계민속무용 영역 내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21(2023): 813-8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