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BL-based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유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1호, 863~88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15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PBL 기반 유아문학교육 교과목을 운영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의 과정을 탐색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경기도에 위치한 4년제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1학년 학생 2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22년 9월부터 12월까지 총 15주간 유아문학교육 수업에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였다. 자료는 연구참여자의 반성적 저널과 그룹 면담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PBL 기반 유아문학 수업과정에서의 경험과 인식을 분석하였다.
결과 PBL기반 유아문학교육 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은 익숙하고도 낯선 유아문학, 알수록 보이고 볼수록 즐거운 ‘유아문학교육에 대한 지식의 확장’으로 나타나고, 혼자보다는 함께하는 기쁨을 주는 ‘협력적 문제해결의 경험’으로 나타났다. PBL기반 유아문학교육 수업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은 다양한 가치를 담고, 일상과 호기심에서부터 상상과 창작으로 확장되는 유아문학교육 특성에 대한 인식과 다리와 조각가와 같은 교사의 역할과 문학적 감수성과 창의력이라는 교사 역량에 대한 인식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문학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해 교원양성과정에서 다양하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고 구체적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 실천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experience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xamine their meaning by operating PBL-based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courses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25 first-year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4-year College of Education located in Gyeonggi-do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problem-oriented learning was applied to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classes for a total of 15 week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2. The data col-lected reflective journals and group interview data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analyze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PBL-based early childhood literature course.
Results The experience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BL-based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classes was found to be familiar and unfamiliar early childhood literature, an “expansion of knowledge about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that was more enjoyable to see and see, and an “experience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hat gave them the pleasure of being together rather than alone. The perception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PBL-based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classes contains various values and expands from daily life and curiosity to imagination and creation.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eeking various and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for the qualitative growth of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and providing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pecific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21호 목차
- 영남권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재학생의 취업 진로 실태에 관한 연구
- The Impact of Reflective E-Journaling on Korean Adult EFL Learners’ English Anxiety and Course Achievement
- 유아의 사회·정서적 유능감 평가척도 개발
- 실용무용계열 학생들의 진로 고민 및 탐색 과정 분석
- 임상간호사의 공유리더십과 팀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대학 교양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동향
- 비대면화상상담의 심리적 이익과 잠재적 위험요인의 탐색
- CONCOR와 Thematic Analysis을 활용한 4차산업혁명 시대의 창의적 인간에 대한 사회적 담론 고찰
- 예비교사를 위한 현장기반 문제해결 수업의 교육적 효과
- 신경학적 질환이 없는 노인 대상 실행기능 향상 훈련 효과
- 초등학교 체육교과 세계민속무용 영역 내용 분석
- H. Lefebvre의 공간생산론을 적용한 상담공간
- 인공지능(ChatGPT)을 활용한 중학생 시 쓰기 교육 실제
- 유아기 부정적 정서성과 모 우울이 아동의 학업수행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An exploration of the needs for expert consulting support and the change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children at risk of disabilities
- 미취업 청년의 부모 지지와 취업스트레스 간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대학 교양수업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향상을 위한 자료 팅커링 활동의 효과 분석
-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부모역할 신념, 가족친화제도, 어머니 문지기 행동의 관계
- 선택적 함묵증 청소년의 자기표현 및 관계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미혼 남녀의 불안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PBL 기반 유아문학교육 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과 인식
- 코로나19 기간 초등학교 학부모의 자녀 원격수업에서의 교육적 관여 경험에 관한 연구
- 일지역 간호대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교수-학생 상호작용, 이러닝 서비스 만족도·재이용 의도 및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
- 대학생의 개인특성, 학습경험, 학습 만족도 및 학습성과의 구조적 관계
- 수학적 의사소통 증진 프로그램이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수학적 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초기성인의 정신화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놀이민감성과 전문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취약계층 청소년 및 일반 청소년의 그릿 영향요인 비교 분석
- 긍정강화인성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돌봄, 방어기전, 공감능력,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 지역 20대 청년 창업자들의 소셜 앙트러프러너십과 창업교육에 관한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영어 수업이 초등학교 1학년 학습자들의 어휘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운영에 대한 교원 및 전문가 인식 분석
- 중·고등학교 학생의 영어 수업이해도 변화추이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요인 분석
-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대학에서의 창의성 연구 동향 분석
- 체조 뜀틀 다리 벌려 넘기 동작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운동학적 비교분석
- 베이지안 방식의 데이터 증강을 이용한 지도학습 기반 인지진단평가 연구
- 포스트코로나시대 전문대학생의 취업불안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국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 문법 문항 분석 및 개선 방향
-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유연성 및 지연행동메타인지신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COVID-19 상황에서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불확실성 스트레스와 진로미결정의 관계
- 초등교사의 걷기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농업전문직의 교육훈련 현업적용도 영향요인 연구
- 프랑스연극 교과목의 Engaged Learning 수업 활용 사례연구
- 학교적응이 아동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복잡계 이론을 적용한 2022 대입제도 개편 정책결정과정 분석
- 대학생의 무기력 경험과 대학교 지원에 관한 인식 연구
- 영유아 교사의 정신건강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종합병원 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EBP) 역량 영향 요인
-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학습자만족의 매개효과
- 은근한 따돌림은 학교폭력인가?
- 철자인식 프로그램이 학습부진 아동의 철자인식과 읽기·쓰기에 미치는 효과
- 다의어 break 번역 시 한국어의 영향
- 중국의 2017 개정 일반 고등학교 1학년 기술 교과서 체제 분석
- 유아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반성적 사고, 놀이민감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의사소통능력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이 야간 전문대학생의 공감, 의사소통, 대인관계 및 비폭력대화 능력에 미치는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