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H. Lefebvre의 공간생산론을 적용한 상담공간

이용수 38

영문명
Consultation Space Applying H. Lefebvre's Theory of Spatial Production: A Elementary School WEE Clas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화식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1호, 845~86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1.15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H. Lefebvre의 공간론(2014)을 Wee클래스에 적용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공간의 변증법적 역동성을 강조한 Lefèbvre의 저작과 상담 공간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저작에 대해 문헌연구를 하였다. 결과 Lefebvre의 공간론은 사람이 공간을 만들고 공간에 점유하며 살아가며 다시 공간이 사람의 구념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이를 적용하여 상담 관련자가 Wee클래스라는 공간을 만들고, 상담관련자가 Wee클래스에 점유하고, 다시 Wee클래스 점유자가 공간에 영향을 받아 개인 구념이 변증법적 변화과정을 제시한다. 구체적인 것은 Lefebvre의 공간생산론과 공간삼중성의 의미를 밝히고 이를 A초등학교의 Wee클래스에 실제 적용하여 구체적인 사례와 결과를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Lefebvre의 철학과 공간론을 논의하고 이후 일반적인 교육공간에서 시작하여 Wee클래스 공간의 의미를 탐색한다. 연구를 위해 학교 상담 공간의 담당자(1명), 장학사(1명), 교장(1명), 교사(3명), 학생(5명)가 연구에 참여하여 이들의 경험을 연구로 진행했다. 이들을 대상으로 Wee클래스 공간에서 겪었던 겸헝을 ‘공간적 실천’, ‘공간의 재현’, ‘재현의 공간’으로 구분하여 제시했다. 이를 통해 Wee클래스 공간에 Lefebvre의 공간삼중성을 적용하면, ‘공간적 실천’은 Wee클래스 공간의 물리적 생산에 관련된 것이고, ‘공간의 재현’은 Wee클래스 공간에 대한 기대 등으로 위기학생에 대한 안전망 제공이나 학생들의 정서적 쉼의 공간 제공 등이다. 마지막으로 ‘재현의 공간’은 Wee클래스 공간에 대한 실제 사용자인 학생들의 다양하고 개방된 경험 등이다. 결론 Lefebvre의 생산론과 공간삼중성을 통해 Wee클래스 적용하면 ‘공간적 실천’은 Wee클래스가 설치되기 전에 공간에 대한 계획과 Wee클래스 공간에 대한 실제 점유이다. 또한 ‘공간의 재현’은 Wee클래스에 대한 일반적인 구념이 될 수 있고, ‘재현의 공간’ 은 Wee클래스에 대한 실제 사용자의 다양한 반응이다. 이와 같이 Wee클래스 공간에 대한 시간별, 구성원들 간의 다양한 접근은 Wee클래스 활동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we will apply H. Lefebvre's spatial theory (2014) to the Wee class. Methods To this end, we conducted a literature study of the works of Lefèbvre, who emphasized the dialectical dynamics of space, and the works of various scholars on consulting spaces. Results H. Lefebvre's theory of space is that a person creates a space, occupies and lives in the space, and then the space affects people's conception. By applying this, the counseling related person creates a space called Wee class, the counseling related person occupies the Wee class, and the Wee class occupant is influenced by the space again, suggesting a process of dialectical change in personal concept. Specifically, it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Lefebvre's theory of spatial production and spatial tripletness, and to obtain concrete examples and results by actually applying them to the Wee class of A school.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discusses Lefebvre's philoso-phy and spatial theory, and then explores the meaning of Wee class space starting from a general educational space. For the study, the person in charge of the school counseling space (1 person), superintendent (1 person), principal (1 person), teachers (3 people), and students (5 people)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conducted research on their experiences. For these students, the humiliation experienced in the Wee class space was divided into ‘spatial practice’, ‘representation of space’, and ‘space of representation’. Through this, if Lefebvre's spatial triplet is applied to Wee class space, ‘spatial practice' is related to the physical production of Wee class space, and ‘representation of space’ is related to expectations of Wee class space, providing a safety net for at-risk students, etc. Providing a space for emotional rest for students. Lastly, the ‘space of representation’ refers to the diverse and open experiences of students who are actual users of the Wee class space. Conclusions Applied to the Wee class through Lefebvre's theory of production and spatial tripartity, ‘spatial prac-tice’ is the planning of the installation of the Wee class and the actual occupation of the space of the Wee class. In addition, ‘reproduction of space’ is a common belief about the WEE class, and ‘space of representation’ is the various reactions of actual users to the WEE class. In this way, a variety of approaches to the WEE class space over time and among members will help to improve the quality of WEE class activities.

목차

Ⅰ. 서론
Ⅱ. Lefebvre의 공간생산론
Ⅲ. 학교 공간과 Wee클래스 공간이해
Ⅳ. Lefebvre의 ‘공간삼중성’을 통한 Wee클래스 공간 적용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화식. (2023).H. Lefebvre의 공간생산론을 적용한 상담공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21), 845-861

MLA

이화식. "H. Lefebvre의 공간생산론을 적용한 상담공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21(2023): 845-8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