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sultation Space Applying H. Lefebvre's Theory of Spatial Production: A Elementary School WEE Cla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화식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1호, 845~86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15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H. Lefebvre의 공간론(2014)을 Wee클래스에 적용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공간의 변증법적 역동성을 강조한 Lefèbvre의 저작과 상담 공간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저작에 대해 문헌연구를 하였다.
결과 Lefebvre의 공간론은 사람이 공간을 만들고 공간에 점유하며 살아가며 다시 공간이 사람의 구념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이를 적용하여 상담 관련자가 Wee클래스라는 공간을 만들고, 상담관련자가 Wee클래스에 점유하고, 다시 Wee클래스 점유자가 공간에 영향을 받아 개인 구념이 변증법적 변화과정을 제시한다. 구체적인 것은 Lefebvre의 공간생산론과 공간삼중성의 의미를 밝히고 이를 A초등학교의 Wee클래스에 실제 적용하여 구체적인 사례와 결과를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Lefebvre의 철학과 공간론을 논의하고 이후 일반적인 교육공간에서 시작하여 Wee클래스 공간의 의미를 탐색한다. 연구를 위해 학교 상담 공간의 담당자(1명), 장학사(1명), 교장(1명), 교사(3명), 학생(5명)가 연구에 참여하여 이들의 경험을 연구로 진행했다. 이들을 대상으로 Wee클래스 공간에서 겪었던 겸헝을 ‘공간적 실천’, ‘공간의 재현’, ‘재현의 공간’으로 구분하여 제시했다. 이를 통해 Wee클래스 공간에 Lefebvre의 공간삼중성을 적용하면, ‘공간적 실천’은 Wee클래스 공간의 물리적 생산에 관련된 것이고, ‘공간의 재현’은 Wee클래스 공간에 대한 기대 등으로 위기학생에 대한 안전망 제공이나 학생들의 정서적 쉼의 공간 제공 등이다. 마지막으로 ‘재현의 공간’은 Wee클래스 공간에 대한 실제 사용자인 학생들의 다양하고 개방된 경험 등이다.
결론 Lefebvre의 생산론과 공간삼중성을 통해 Wee클래스 적용하면 ‘공간적 실천’은 Wee클래스가 설치되기 전에 공간에 대한 계획과 Wee클래스 공간에 대한 실제 점유이다. 또한 ‘공간의 재현’은 Wee클래스에 대한 일반적인 구념이 될 수 있고, ‘재현의 공간’ 은 Wee클래스에 대한 실제 사용자의 다양한 반응이다. 이와 같이 Wee클래스 공간에 대한 시간별, 구성원들 간의 다양한 접근은 Wee클래스 활동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we will apply H. Lefebvre's spatial theory (2014) to the Wee class.
Methods To this end, we conducted a literature study of the works of Lefèbvre, who emphasized the dialectical dynamics of space, and the works of various scholars on consulting spaces.
Results H. Lefebvre's theory of space is that a person creates a space, occupies and lives in the space, and then the space affects people's conception. By applying this, the counseling related person creates a space called Wee class, the counseling related person occupies the Wee class, and the Wee class occupant is influenced by the space again, suggesting a process of dialectical change in personal concept. Specifically, it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Lefebvre's theory of spatial production and spatial tripletness, and to obtain concrete examples and results by actually applying them to the Wee class of A school.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discusses Lefebvre's philoso-phy and spatial theory, and then explores the meaning of Wee class space starting from a general educational space. For the study, the person in charge of the school counseling space (1 person), superintendent (1 person), principal (1 person), teachers (3 people), and students (5 people)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conducted research on their experiences. For these students, the humiliation experienced in the Wee class space was divided into ‘spatial practice’, ‘representation of space’, and ‘space of representation’. Through this, if Lefebvre's spatial triplet is applied to Wee class space, ‘spatial practice' is related to the physical production of Wee class space, and ‘representation of space’ is related to expectations of Wee class space, providing a safety net for at-risk students, etc. Providing a space for emotional rest for students. Lastly, the ‘space of representation’ refers to the diverse and open experiences of students who are actual users of the Wee class space.
Conclusions Applied to the Wee class through Lefebvre's theory of production and spatial tripartity, ‘spatial prac-tice’ is the planning of the installation of the Wee class and the actual occupation of the space of the Wee class. In addition, ‘reproduction of space’ is a common belief about the WEE class, and ‘space of representation’ is the various reactions of actual users to the WEE class. In this way, a variety of approaches to the WEE class space over time and among members will help to improve the quality of WEE class activities.
목차
Ⅰ. 서론
Ⅱ. Lefebvre의 공간생산론
Ⅲ. 학교 공간과 Wee클래스 공간이해
Ⅳ. Lefebvre의 ‘공간삼중성’을 통한 Wee클래스 공간 적용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21호 목차
- 영남권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재학생의 취업 진로 실태에 관한 연구
- The Impact of Reflective E-Journaling on Korean Adult EFL Learners’ English Anxiety and Course Achievement
- 유아의 사회·정서적 유능감 평가척도 개발
- 실용무용계열 학생들의 진로 고민 및 탐색 과정 분석
- 임상간호사의 공유리더십과 팀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대학 교양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동향
- 비대면화상상담의 심리적 이익과 잠재적 위험요인의 탐색
- CONCOR와 Thematic Analysis을 활용한 4차산업혁명 시대의 창의적 인간에 대한 사회적 담론 고찰
- 예비교사를 위한 현장기반 문제해결 수업의 교육적 효과
- 신경학적 질환이 없는 노인 대상 실행기능 향상 훈련 효과
- 초등학교 체육교과 세계민속무용 영역 내용 분석
- H. Lefebvre의 공간생산론을 적용한 상담공간
- 인공지능(ChatGPT)을 활용한 중학생 시 쓰기 교육 실제
- 유아기 부정적 정서성과 모 우울이 아동의 학업수행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An exploration of the needs for expert consulting support and the change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children at risk of disabilities
- 미취업 청년의 부모 지지와 취업스트레스 간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대학 교양수업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향상을 위한 자료 팅커링 활동의 효과 분석
-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부모역할 신념, 가족친화제도, 어머니 문지기 행동의 관계
- 선택적 함묵증 청소년의 자기표현 및 관계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미혼 남녀의 불안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PBL 기반 유아문학교육 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과 인식
- 코로나19 기간 초등학교 학부모의 자녀 원격수업에서의 교육적 관여 경험에 관한 연구
- 일지역 간호대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교수-학생 상호작용, 이러닝 서비스 만족도·재이용 의도 및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
- 대학생의 개인특성, 학습경험, 학습 만족도 및 학습성과의 구조적 관계
- 수학적 의사소통 증진 프로그램이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수학적 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초기성인의 정신화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놀이민감성과 전문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취약계층 청소년 및 일반 청소년의 그릿 영향요인 비교 분석
- 긍정강화인성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돌봄, 방어기전, 공감능력,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 지역 20대 청년 창업자들의 소셜 앙트러프러너십과 창업교육에 관한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영어 수업이 초등학교 1학년 학습자들의 어휘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운영에 대한 교원 및 전문가 인식 분석
- 중·고등학교 학생의 영어 수업이해도 변화추이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요인 분석
-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대학에서의 창의성 연구 동향 분석
- 체조 뜀틀 다리 벌려 넘기 동작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운동학적 비교분석
- 베이지안 방식의 데이터 증강을 이용한 지도학습 기반 인지진단평가 연구
- 포스트코로나시대 전문대학생의 취업불안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국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 문법 문항 분석 및 개선 방향
-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유연성 및 지연행동메타인지신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COVID-19 상황에서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불확실성 스트레스와 진로미결정의 관계
- 초등교사의 걷기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농업전문직의 교육훈련 현업적용도 영향요인 연구
- 프랑스연극 교과목의 Engaged Learning 수업 활용 사례연구
- 학교적응이 아동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복잡계 이론을 적용한 2022 대입제도 개편 정책결정과정 분석
- 대학생의 무기력 경험과 대학교 지원에 관한 인식 연구
- 영유아 교사의 정신건강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종합병원 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EBP) 역량 영향 요인
-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학습자만족의 매개효과
- 은근한 따돌림은 학교폭력인가?
- 철자인식 프로그램이 학습부진 아동의 철자인식과 읽기·쓰기에 미치는 효과
- 다의어 break 번역 시 한국어의 영향
- 중국의 2017 개정 일반 고등학교 1학년 기술 교과서 체제 분석
- 유아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반성적 사고, 놀이민감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의사소통능력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이 야간 전문대학생의 공감, 의사소통, 대인관계 및 비폭력대화 능력에 미치는 효과